기사 (257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태고부터의 비접촉(Untact) 아닌 접촉 길을 걷다 우연히 『대학신문』을 봤다. 2016호라는 숫자에서 16학번이 떠올라 후배처럼 느껴져 푸근해서였을까, 혹은 요즘 들어 밖을 거니는 것이 뜸했기 때문이었을까. 디지털 노마드가 다 된 내가 오래간만에 활자가 ... 전태일 50주기, ‘주체적 인간’이 되기 두려운 현실을 아파하다 50년 전,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이 몸을 통해 세상에 절규했던 날이다. ̒전태일 50주기: 우리 사회의 사각지대를 조명하다̓ 기사를 읽고 2014년 가을 옛 구로공단 여공들의 역사를 찾아 헤맸던 기억들이... (비)인간의 목소리: 배제당한 자, 자연환경, 인공지능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소설 『휴스턴, 휴스턴, 들리는가?』는 태양계 탐사를 나선 우주선(선버드호)이 우연한 사고로 인해 시간 이동을 겪게 되는 모험을 서사화한다. 선버드호에 탑승하고 있던 (남성)주인공들은 또 다른... ‘고이’ 옮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의 캠퍼스는 ‘서울대학교’가 아닌 ‘줌’(ZOOM)이 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전의 나는 수업, 점심, 동아리 등을 이유로 학교의 이곳저곳을 누볐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나의 모든 활동은 ... 잠들지 않는 시대정신 잠들지 않는 시대정신. ‘대학신문을 읽고’ 원고 작성을 위해 2012호 『대학신문』을 찬찬히 읽었다. 전체 16면에서 가장 눈에 띈 건 5면 하단의 『대학신문』 구독 안내문에 선명하게 인쇄되어 있는 아홉 글자, ‘잠... 약한 고리들의 (재)연결을 위해 우리가 겪고 있는 지금 팬데믹 시대에는 두 가지가 빠져 있다는 동료의 말을 기억한다. 하나는 확진자의 목소리, 다른 하나는 사망자에 대한 애도. 2014년 세월호 참사 때를 상기해 보면 재난 당사자에 대한 우리의 태... ‘별 볼 일 없는’ 성적 공개 제도가 만들어지길 지난 『대학신문』 2010호의 ‘★’(검은 별)관련 기사를 읽고, 잊고 있었던 나의 쓰라린 기억 하나가 되살아났다.군 제대 후 복학해 여느 때보다도 학업에 충실했던 2학년 2학기를 마쳤을 때의 일이다. 다른 과목의 ... 『대학신문』의 균형과 진실 2020년 2학기도 어느덧 2주가 지나갔다. 우리는 방송과 다양한 매체, SNS 등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고, 지난주 『대학신문』에서도 1면 ‘관악사 입... 『대학신문』에는 서울대인이 있다 코로나가 끼어든 우리 삶의 모습은 어쩔 수 없이 크게 변하고 말았다. 마스크를 끼지 않고 집을 나서는 영화 속 주인공이 눈에 밟히다니, 헛웃음이 난다. 한 달 앞을 내다보기도 어려워 이제 일상이란 말에 익숙함의 뜻은... 서로 만족할 온라인 강의 방법 찾기 『대학신문』 2006호의 ‘비대면 강의 시스템 대체로 만족하나 개선도 필요해’ 기사를 읽었습니다. 교무처에서 실시한 비대면 강의 만족도 조사의 결과를 풀어 쓴 기사로, 학생은 녹화 동영상 업로드를 선호하는 반면 강의... 『대학신문』은 사라지지 않는다 한 학기는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끝이 보이지 않는다. 『대학신문』 2005호의 8면은 ‘사라짐’을 담고 있다. 늘 북적거리던 건물 복도와 자하연에서 사라진 사람들, 친구... 비대면 정보 습득 창구, 『대학신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실습 강의를 제외한 강의는 현재까지도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에 실습강의를 수강하지 않는 학생은 학교의 상황을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대학신문... 처음처음12345678910다음다음다음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