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으로 변모한 원전 수주 논란
에너지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봐야
경제적 효과, 국가 위상 고려해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에 힘써야

에너지자원시스템공학부
작년 한 해는 원전 UAE 수출로 원자력계는 물론이고 온나라가 축제와 우려로 떠들썩했다. 고도의 기술집약적 산업시설인 원전의 수출은 200억불의 경제적 이익을 떠나 우리나라를 선진국 대열에 올려놓기에 충분한 실적이다. 하지만 덤핑 수출, 이면 계약, 퍼주기식 금융지원 의혹에 심지어 “안전하지 못한 원전을 수출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며 논란이 되고 있다.

수주 논란이 정치적으로 변모하고 있지만 깎아내리기에 앞서 알아야 할 것이 있다. 이번 수주는 단지 정치적 공작에 의한 것이 아니라 원자력 전문가들의 노력과 우리나라 원전의 우수한 실적이 바탕이 됐다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쾌거 뒤에는 원자력 분야 기술자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이들을 배출한 서울대, 그리고 산학연의 긴밀한 협동이 있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에너지문제는 국가 생존이 걸린 국가안보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현재로서 ‘깨끗하면서도 강력한 에너지’라는 최적의 방안은 결국 원자력밖에 없다. 때문에 그동안 원자력을 반대해 온 서구의 많은 나라와 반핵의 기치를 내세웠던 그린피스 창립자 제임스 러브록 등 여러 인사들이 입장을 재고하거나 아예 바꿀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수년전에는 굴업도, 부안, 경주 방폐물 사업장을 둘러 싼 극심한 갈등을 겪었지만 최근 들어 연구용 원자로 건설에는 7곳의 지자체가 응모하며 원전을 통해 지역경제활성화를 꾀하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고리 1호기를 필두로 시작된 우리나라 원전은 올해 신고리 1호기가 상업운전에 들어가면서 총 21기로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은 원전을 보유하게 됐다. 이러한 원전의 지속적인 건설은 앞서 말한 원전 수출의 원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그간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근간이 되는 에너지의 공급원이 됐다. 원전 건설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크다. 

원전 포기를 선언했던 국가들의 정책에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동유럽과 동남아 여러 국가들은 신규 원전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심지어 산유국인 UAE는 자국의 석유를 아끼기 위해 이번에 원전도입을 추진했다. IAEA는 2050년까지 약 1,400기의 원전이 추가 건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원전수출이 본격화된다면 경제적 효과는 물론이고 과학기술 향상 및 국가 위상 제고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원자력이 이처럼 수출동력으로, 그리고 녹색성장의 원동력으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째는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게 원전을 설계하고, 안전하게 운전하며, 국민이 가장 걱정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방사성폐기물의 감소와 소멸을 위한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기술적 측면의 ‘안전’과 감성적 측면의 ‘안심’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이 꾸준히 개발돼야 할 것이다.

둘째는 인력양성이다. 원자력은 고도의 기술산업이라는 특성상 인력양성에 많은 시간과 막대한 투자가 요구된다. 국내 11기 건설예정, UAE 건설 시작, 해외 시장 추가 개척 외에도 차세대 원자로 개발 등 향후 수요는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보다 체계적인 인력확보 계획을 수립해 앞으로의 인력난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앞날을 보려거든 고개 들어 관악을 보라”는 국민 기대에 부응하려면 원자력 기술, 경제 고급인력이 서울대에서 많이 배출돼야 한다. 원자력 분야의 활발한 연구로 진정한 원자력 르네상스를 이뤄 보다 나은 삶과 미래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