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들어 국제화가 대학의 경쟁력으로 대두되자 여러 대학들은 앞다퉈 외국인 학생들을 유치하는 국제화 정책을 펴왔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2011년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8만9천여명이다. 서울대보다 조금 앞서 국제화를 추진해온 다른 대학들은 우리와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며 저마다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은 필수=우선 많은 대학들이 외국인 입학전형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한국어 구사능력을 필수 조건으로 요구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중앙대와 성균관대 등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4급 이상을 취득하거나 학내 한국어교육원 과정을 수료한 외국인 학생에 대해서만 지원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반면 서울대의 경우 언어능력 증빙서류 제출을 서류 평가에서 고려하긴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 중 선택 가능하거나 아예 제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지원자의 한국어 수준을 가늠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이다.

입학한 외국인 학생에게는 학내 어학원과 연계한 수준별 한국어 수업이 제공된다. 연세대에 입학한 TOPIK 5급 미만의 외국인 학생들은 연세어학당의 ‘한국어능력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필수로 수강해야 한다. 여기서 6급 과정을 수료하면 ‘전문반과정’에서 전공 수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성균관대는 성균어학원과 협력해 정규 과목에서 인문대, 공대 등 단대별 맞춤 한국어 강좌를 제공한다. 특히 건국대는 입학 지원시 제출한 한국어 성적에 따라 수준별 한국어과정을 이수해야 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한국어 구사능력 증명 서류를 제출해야만 본과 진입과 졸업이 가능하다. 또 동경대는 일본어교육센터에서 학부생 뿐만 아니라 연구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 교육 프로그램을 따로 운영해 교육 대상의 폭을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대에서도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초교육원장 허남진 교수(철학과)는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에 적응하는 데는 첫 1년 동안의 언어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언어 교육원과 연계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언어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문화적 다양성도 고려돼야=외국인 학생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외국인 학생들의 문화적 특수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은 영미권과 중화권에서부터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미 등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국민대는 국내 대학 최초로 이슬람 유학생을 위해 100㎡ 규모의 기도실을 설치했으며, 고려대의 외국인 원스톱 서비스 센터에서는 영어뿐 아니라 일본어, 중국어로 상담 및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최근 서울대 내에서도 학내 외국인 중 30% 가까이 되는 중화권 학생들(720명)과의 교류를 위해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인문대 신양 1층에 ‘중국어 카페’ 개설을 추진하기도 했다. 중국어 카페 개설을 주도한 김준식씨(중어중문학과·07)은 “학내 전체 외국인 학생 중 중화권 학생의 비율이 30%가 넘지만 학교에서 추진하는 프로그램은 영어권에 국한돼있다”며 “이를 보완하고 다양한 지역의 외국인 학생들과 교류하기 위해 카페를 개설했다”고 말했다.

◇국제화 지표 양적 팽창의 그늘 경계해야 =일각에서는 외국인 학생을 대하는 대학가의 태도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대학들이 대학 순위와 직결되는 국제화의 양적 지표를 증가시키기 위해 외국인 대학생들의 ‘머릿수’만을 채우려고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몇몇 대학에서는 학업 지원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외국인 학생을 유치해 학업 부담을 견디지 못한 외국인 학생의 중도이탈율이 20%가 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편 외국인 학생들이 학교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인 교육의 질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12월부터 △유학생 생활 복지 △학사관리 △학업 지원 체계 구축 등을 평가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국제협력본부장 김준기 교수(행정대학원)은 “외국인 학생 수의 표면적 증가만으로는 교육 수준 제고라는 국제화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며 “질적인 인프라 구축을 통해 국제화의 내실의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