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만에 최고치 기록한 저소득층 엥겔계수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소득증대 위한 정책 필요해

저소득층의 엥겔계수가 7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엥겔계수는 총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이 수치가 높아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지난 20일(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 동향에 따르면 1분위(소득 하위 20%)의 엥겔계수는 22.8%로 2004년 3분기(24.4%) 이래로 최고치다. 이번 3분기 1분위 가구의 총 소비지출액 122만3200원 중 식료품과 음료지출은 27만9400원이었던 것으로 조사됐으며 여기에 음식점 지출 12만3600원을 합치면 1분위 가구의 실질적인 엥겔계수는 33.0%까지 올라간다. 저소득층 가구는 매달 지출의 3분의 1가량을 식생활에 쓰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국제정세로 인한 물가상승이 식료품 가격의 인상을 야기해 저소득층 엥겔계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올해 리비아 사태 이후 석유가격 및 원자재가격이 상승해 전반적인 물가상승이 불가피했고 구제역과 세계적인 한파로 농·축산물 공급이 축소돼 식료품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폭등했다”며 “이러한 국제적 영향으로 인해 정부가 올 초 마련한 물가안정종합대책의 효과가 미미했다”고 말했다.

정부와 한국은행도 물가상승의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수일 연구위원은 “한국은행은 정부의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정책에 밀려 금리인상으로 통화량을 감소시킬 적정 시기를 놓치며 물가상승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정부의 고환율 정책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물가를 안정시키겠다고 발표한 정부가 수출 기업을 위해 고환율 정책을 취하면서 수입물가도 자동으로 높은 수준에서 유지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0월 수입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0% 올랐다.

한편 소득 하위계층이 경기변화에 취약한 반면 상위계층은 물가상승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위 엥겔계수의 상승세와 대조적으로 5분위(소득상위 20%)의 엥겔계수는 12.2%로 지난해보다 0.2% 감소했다. 윤창현 교수(서울시립대 경영학부)는 “정부는 성장 위주 정책과 친기업 정책이 가져올 낙수효과를 기대했지만 실제로 소득 1분위에는 효과가 없었다”고 말했다. 또 그는 “1분위의 소득이 정체돼 물가상승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 여태껏 추구하던 정책에서 벗어나 저소득층의 소득을 실질적으로 증대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