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과 언론파업

사진: 심수진 기자 jin08061922@snu.kr

KBS, MBC, YTN 등 주요 언론사들의 파업이 유례없이 장기화되고 있다. 아직까지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현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함께 논의하고 연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6일(수) 정동 프란치스코회관 4층 대강당에서 언론광장, 새언론포럼 등 7개 언론단체의 주최로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과 언론파업’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전국언론노동조합 이강택 위원장을 비롯한 7명의 패널이 장기화되는 언론파업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토론회는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규찬 대표의 ‘파업 제3국면에 임하는 우리의 생각과 자세’라는 주제의 발제로 시작됐다. 그는 이달 15일부터 한 달 동안의 기간을 “파업을 둘러싼 최종 국면, 결정적 시간인 제3국면”이라고 명명하며 대선 기간에 본격 돌입하기 전인 현 시점이 언론 독립성을 되찾고 체계를 바로잡을 수 있는 때라는 의견을 밝혔다.

전 대표는 야당의 총선 패배 이후 일각에서 출구론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는 올바른 파업의 귀결 방향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전 대표가 비판한 출구론은 이번 파업의 본래 목표인 낙하산 사장 퇴출과 청문회 개최를 뒤로 한 채 “언론사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논의를 시작한다”는 여·야 합의를 전제로 파업을 중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MBC 해직기자 이용마씨는 “공영방송 MBC의 정상화와 김재철 퇴진이 MBC 파업의 슬로건으로 일각에서 제기되는 출구론은 억측”이라며 “MBC는 김재철 사장이 퇴출돼도 제2의 김재철이 나올 수밖에 없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체제 개선이 낙하산 사장 퇴출 및 청문회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파업과 관련해 정치권의 역할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민주통합당 전병헌 의원은 야당이 언론파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을 인정했다. 그는 “언론파업 시기와 총선을 준비하는 시기가 겹쳤고, 총선 패배 이후 정비기간이 필요해 야당이 제 역할을 못했다”며 “이번 19대 국회를 개원하기 위한 원 구성 협상에서 언론파업 문제를 최우선 의제로 삼겠다”고 말했다. 한편 참여연대 박주민 상임집행위원은 “이번 언론 파업 문제의 해결을 정치권에 기대는 것은 우물에서 숭늉을 찾는 것”이라며 언론파업 문제는 시민들의 참여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논란에서도 정치권이 제역할을 하지 못했던 것을 볼 때 선거를 앞두고 표심 얻기에 최우선으로 주력하는 정치권에 언론파업의 ­해결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언론파업이 장기화되고 있음에도 시민의 무관심이 계속되는 것이 근본적인 사회 문제라는 시각도 존재했다. 최용익 MBC 전 논설위원은 패널들에게 “2008년 광우병 집회에서 100만명이 촛불을 들던 때와 달리 이번 언론파업에서는 그만한 시민동력이 보이지 않는다”며 “시민들의 관심이 부족한 것은 우리 사회가 이미 이명박 정권에 의해 장악된 준 경찰국가가 됐음을 징후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렇듯 침체된 시민사회 문제도 언론 파업의 성공을 통해 타개돼야 할 필수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