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는 ‘사랑’에 관한 책을 쓰리라 다짐한 적이 있다. 그 무엇도 아닌 오로지 ‘사랑’을 주제로 한 책을 쓰겠다고 생각하며 사랑에 관한 철학책들을 사 모았었다. 이런 다짐을 하게 된 데는 아마도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책의 영향이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사랑에 대해 온갖 철학자들의 말을 빌려가며 뭔가 심오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은 모습에 감동을 받아 나도 언젠가는 사랑에 대한 내 나름의 철학을 펼쳐보리라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사랑이라는 게 실은 얼마나 하찮은 것인지를 깨닫는다. 한 시인이 노래했던 것처럼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뿐이었다. 다만 문제는 그 하찮은 행위가 그 순간만큼은 그렇게도 거대하게, 세상의 전부인 것처럼 다가온다는 것이었다. 아무리 나이가 들고 세월이 흘러도 그 위대한 힘은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남아 이 세상을 굴러가게 하는 부조리한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닐까. 감히 설명할 수 없는 그 힘 때문에 우리는 평소에는 감히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던 일들을 저지르고 거기에 감히 ‘혁명’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누군가는 사랑의 하찮음을 깨닫는 동시에 그 사랑의 진정성에 두려움을 느낀다.

지난 주 한 후보가 ‘진심의 정치’를 하겠다며 대선 출마의 변을 밝혔다. 그런데 이 말을 듣고 괜히 울컥 눈물이 날 것만 같은 스스로에게 놀라며 그동안 ‘진심’과 ‘정치’라는 두 단어의 조합이 얼마나 모순된 것이었는지를 실감했다. 나와 마찬가지로 ‘비정상적인’ 정치인들의 행태를 익히 보아온 이들 역시 이 말을 일종의 정치적 수사로 치부하고 냉소할지 모르겠다. 혹은 여기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며 환상을 덧씌우는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랑’과 마찬가지로 ‘진심’이라는 것 또한 얼마나 하찮고도 당연한 것인가. 어쩌면 ‘진심의 정치’를 하겠다는 말이 엄청난 선언인 것처럼 받아들여지는 우리의 현실이 이상하고도 슬픈 것은 아닌가.

사랑에 대한 과도한 환상도, 냉소도 결국은 사랑을 실패에 이르게 한다. 그러니 진심의 정치를 하자는 선언에 대해 환상을 가지지도 냉소로 응답하지도 말자. 다만 그 사소함의 거대함을 무시하지 말고 그들이 그 사소함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하는지 묵묵히 지켜보자.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물음을 ‘왜 나는 너를 뽑는가’라고 바꾸어도 좋다. 다만 사랑에 대한 우리의 정당한 요구가 이뤄질 때까지 그들을 외면하지만은 말자. 사랑에 대한 아주 사소하고 하찮은 요구조차 수용되지 않는 현실에 좌절하고 또 좌절할지라도, 그것을 포기하지 않음에 아니 포기할 수 없음에 그 위대함의 가치가 있으니.

안지영 간사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