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호 기자
학술부
논문표절에 관한 보도가 연일 뉴스를 장식하고 있다. 학자부터 고위공직자, 유명 스타강사, 연예인까지 한국사회 전체가 표절문제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대중들은 각종 언론매체가 경쟁적으로 보도한 내용을 접하며 해당 인사들의 ‘부도덕함’에 개탄하고 있다. 그런데 표절을 비롯한 연구윤리 문제는 해당연구자에 대한 비난으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

사실 연구윤리 문제는 다양한 층위의 원인에서 발생한다. 연구윤리라는 개념이 정립된 역사가 짧은 면이 있고 관련 제도의 허점이 있는 면도 있다. 또 연구과정보다는 연구결과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인터뷰에 응한 한 전문가는 “여러 복잡한 원인이 얽히고 설켜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그런데 현재 대다수의 언론의 보도가 표절을 저지른 자를 단죄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대중들도 표절문제의 원인을 개인의 부도덕함에 귀결시키는 면이 있다. 하지만 이 사태를 진정으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해당 연구자의 표절에 대한 비난을 넘어 표절이 발생할 수 있었던 환경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예컨대 표절을 포함한 연구윤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사회적 차원에서 공론화가 이뤄져야 한다. 표절을 범한 자의 부도덕함을 용인해 준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을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해야 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어느 한 분야가 아닌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있다. 따라서 학계의 일부 전문가를 넘어 사회 전반에서 시스템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 각 분야에서의 해결 노력이 축적될 때 연구윤리는 서서히 제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연구윤리 문제를 어느 한 원인에 귀결시킬 수는 없는 일이다.

한국사회에서 연구윤리 문제는 하루이틀 사이에 벌어진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 누적된 문제가 유독 최근에서야 집중적으로 부각될 뿐이다. 매스컴의 ‘폭로’에만 관심을 기울여서는 연구윤리를 확립시킬 수 없다. 지금이 바로 연구윤리에 대해 깊이 고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