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무리의 초등학교 아이들이 멀리 소풍을 왔다. 늘 그렇듯이 즐거운 때는 금방 흘러가 어느덧 귀가할 시간이 됐다. 선생님은 반장에게 아이들이 모두 있는지 점검해줄 것을 부탁했다. 반장은 아이들을 불러 모았다. 하나, 둘, 셋 … 어라, 그런데 한 명이 모자랐다. 잘못 세었겠지, 생각하고 다시 하나, 둘 … 세었지만 역시 한 명이 없었다. 반장의 다급한 보고를 들은 선생님은 아이를 잃어버렸다는 생각에 눈앞이 캄캄해졌다.

이 이야기의 결론은 그것의 다양한 변주만큼이나 잘 알려져있다. 반장은 자신을 세지 않았던 것이다. 셈에서 모자랐던 것은 반장 자신이었다. 셈하는 이는 자기 자신을 계산 속에 넣지 않는 순진한 실수를 언제라도 저지를 수 있다. 나 자신 또한 항상 저 바깥에 있는 대상의 일부라는 (일견 역설적인) 사실을 간과함으로써 말이다.

『대학신문』 이번 호에서는, 지난 6월 『한국일보』 사태와 더불어 다시 제기된 편집권 논란을 사회면 첫 기사로 보도하고 있다. 『대학신문』 기사의 요점은 분명 정당해 보인다. 외부의 힘으로부터 언론이 자신의 편집권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자수첩에서 꼬집고 있듯이 결국 편집권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쯤으로 생각하는 인식이 문제라는 지적도 고개를 끄덕이며 읽을 만하다. 흥미로운 것은, 비단 『대학신문』에서만의 특징은 아니지만, 언론이 언론 자신의 자유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 자체다. 언론이 언론의 자유를 다룬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단지 언론의 자유에 관한 논란이 있었음을 사진기처럼 보여주는 것일까, 아니면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일까? 그 보도 속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숙고가 포함되어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근본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대학신문』은 과연 자유로운가? 편집권은 『대학신문』 자신에게 있는가? 『대학신문』 편집에 외부적 검열 기제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평온하게 흘러가는 날에는 알 수 없는 진실이 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상상’을 해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대학신문』의 발행인은 서울대의 총장이다. 즉 『대학신문』은 본부 측과 어쩔 수 없이 연결된 구조 하에 있다. 이제 어떤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나서 본부가 직접적으로 비판받아 마땅한 상황에 있다고 ‘상상’해보자. 이와 같은 상황에서, 『대학신문』은 자신에게 부과되어있는 구조를 넘어설 수 있는가? 검열의 압력을 가로질러 직접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 이는 단순히 학내언론으로서의 『대학신문』이 여론의 기대에 영합할 수 있는가를 묻는 것이 아니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 『대학신문』 기자들은 자신들이 다루고자 하는 바를 어떤 상황에서도 금기나 성역 없이 다룰 수 있는가?

『대학신문』의 역사라든지 심층적인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언론의 자유를 보도하는 데서 신문의 사명이 종결되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나아가 셈하는 『대학신문』 자신의 상황 또한 계산 속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민주주의의 성장에 따라 언론의 자유라는 문제가 다시 제기되고 있는 만큼 사안들에 대해 금기 없이 다가갈 수 있는 『대학신문』의 모습을 앞으로(도) 기대해본다.

윤대웅
철학과·10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