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노동자의 저임금[]장시간 노동은 버스의 경우에도 오랫동안 문제로 지적돼 왔다. 최근 파업을 벌인 대구[]광주 지역 버스노동자는 하루 9시간씩 한달에 26일을 근무하지만 월급은 93만원에 불과하다. 이런 열악한 노동조건은 만성적 질환과 위험운전을 야기해 버스 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한다. 또 ▲빠듯한 배차간격으로 인한 과속운전 ▲버스회사의 이익에 따른 노선 선택 ▲운행정보 부족 등 승객의 불편도 초래한다.

 


서울시는 오는 7월 ‘수입금 공동관리기구’를 설립, 운행실적에 따라 수입을 배분하고 8∼10% 수준의 적정이윤과 운송비용을 보장하는 ‘준공영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준공영제가 실시되면 통합 요금체계와 정보시스템 등이 정비되고, 간선[]지선[]순환[]광역 4종으로 개편된 노선 운영의 공공성이 강화돼 버스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버스 노동자들은 안정적인 임금과 넉넉한 배차 간격을 보장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27일 준공영제 협상을 타결한 광주시내버스노조 이노문 위원장은 “운송서비스의 질과 안정적인 재원 조달을 지자체가 책임지기로 했다는 점에서 버스노동자 임금 체불과 승객 불편 등 고질적인 문제점이 다소 해결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