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아영 기자
취재부

 정운찬 전 총장의 학부제 개편, 이장무 전 총장의 법인화 추진, 오연천 총장의 법인 전환까지 학교의 운영과 발전은 총장이 바뀔 때 마다 변화를 모색해 왔다. 내년 7월 우리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이를 뽑게 된다. 서울대를 이끌어갈 새로운 총장이 선출되는 것이다.

법인화와 함께 총장을 선출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26대 총장부터는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의 후보 추천과 이사회의 선임으로 총장을 선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사회는 절반이 외부인사로 이뤄져 있어 이전에 비해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는 폭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총추위 규정에 관한 취재 당시 기획처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평가조사’라는 대안을 마련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그 방법이나 절차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 시행 여부까지 총추위가 결정하게 한다는 점에서 실효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자칫 일부 학내 구성원의 의견만을 반영하게 될 수 있는 간선제를 취할 경우 외부세력이 학교의 미래를 좌지우지하게 할 수도 있다. ‘남의 제사상에 감놔라 배놔라’ 하는 꼴인 것이다. 본부는 이를 막기 위해 정책평가조사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그 방법과 절차 또한 실효성을 가지는 방향으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선거 과열 현상을 잠재울 수 있다는 간선제의 장점을 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제한적으로 반영한다는 간선제의 단점을 보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학생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제도도 필요하다. 학생도 교수, 직원과 함께 학내 구성원이다. 미국 코넬대의 경우 학생대표가 포함된 총장후보탐색위원회가 총장후보자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총장을 선출하는 이사회에도 2명의 학생대표가 참여한다. 지금 당장 학생대표가 총추위에 참여하는 것이 무리라면 적어도 정책평가조사나 다른 방법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기회를 줘야 할 필요가 있다.

총장이 서울대가 목표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학내 구성원을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그 역할이 굉장히 중요함에는 틀림이 없다. 특히 법인화 이후 처음 선출되는 총장인 만큼 그 선출방식은 무척 중요하다. 본부가 총장을 선출하는 데 있어 학내 구성원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도록 노력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