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부터 두 달간 시사 주간지 「시사인」에서 인턴 기자로 활동했다. 『대학신문』에서 오랫동안 기자 생활을 했던 만큼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첫 주부터 자신만만하게 아이템을 발제했지만 결과는 꽝이었다. 내가 들었던 평은 ‘심층적이지 못하다’와 ‘현장성이 부족하다’였다. 시의성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템을 내면 일회성 보도용이라는 말을 들었고, 담론을 담은 주제를 던지면 ‘뉴스’가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기자가 되겠다는 사람으로서 부끄러운 일이지만 이를 지면에 공개하는 이유는, 오랜만에 펼쳐 든 『대학신문』이 내가 들은 평과 꼭 닮아있었기 때문이다. 심층성이 없고, 현장이 없다. 새로운 것도 없다.

근거 없이 쓴소리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번 호를 살펴보자. 3면을 털어 낸 1면 탑 기사는 논문을 읽는 느낌이었다. 독자에게 다가오는 현장성은 전혀 없다. 기사의 ‘서울대’를 다른 학교로 바꿔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 대학 거버넌스 문제는 ‘아는 사람은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 사안이기에 그것을 설명하려다 보니 장황해졌겠지만, 결과적으로 기사는 아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제언도, 모르는 사람에게 유용할 정보도 주지 못했다. 역사와 논쟁거리를 정리하느라, 대학 거버넌스는 왜 중요한지, 지금 이 시점에 이 소재를 다루는 이유는 무엇인지는 전혀 보여주지 못했다. 의문은 계속해서 남는다. 이사회로 권력이 집중된 타 대학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했나? 참고해야 할 만한 외국 대학의 사례는 없는가? 권력이 학생-교수-직원 3주체에게 배분돼야 한다는 당위적 결론을 미리 정해뒀기에 더 파고들지 못한 것이다. ‘청사진을 모색하고자 한다’는 발문이 무색하게끔 적절한 제언도 없다. 그로 인해 기사가 취하고 있는 위치도 모호하다.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본부 반박이 나오는 형태다. 이 기사를 읽고 독자가 무엇을 느낄 수 있을까.

3면의 ‘절반이 빈 우정원’ 기사도 아쉽기는 마찬가지다. “일각에서는 건물 이용 계획 없이 건물 짓기에 급급한 관악 캠퍼스의 고질적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는 마지막 문단을 보고, 내가 썼던 기사가 생각났다. 2010년 본부는 나들목을 교체해 ‘친환경적 주차관리시스템’을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색깔이 초록색이고 모양이 곡선이라 주변 친화적이므로 친환경이란다. 코웃음을 쳤지만 흘려 넘겼고 결국 이 기사는 원고지 1매짜리 단신으로 들어갔다. 말도 안 되는 ‘친환경’에 문제를 제기할 기회를 놓친 것이다. 이번 기사도 마찬가지다. 건물 기부는 학교의 필요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 건설 발주를 원하는 기업과 학교 간의 짬짜미가 있는 것은 아닌지? 기부받은 건물의 위치 선정은 어떻게 결정하나? 옛 총학에서 말했던 공간배분위원회는 어떻게 됐나? 다른 학교는 어떤가? 기사의 마지막 문장은 이 의문에 답하기에는 너무 짧다. 개인정보 기사를 비롯한 학외 사안은 기성 언론의 것과 다른 부분을 찾아보기 힘들다.

다시 내 얘기로 돌아가자. 선배들의 가차없는 비판으로, 7주간의 인턴 생활은 그야말로 ‘멘탈 붕괴’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셀 수도 없는 좌절 후에 나는 분명히 무언가를 깨달았고, 조금은 바뀌었다. 개강과 신문사 활동을 병행하느라 고생하고 있을 후배 기자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이 글을 읽고 ‘멘붕’ 좀 하길 바란다. 그래서 조금 더 나아지길 바란다.

이소영
소비자아동학부·09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