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대학신문』을 읽으며 가졌던 의문은 주로 기성 언론과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사회면에 집중됐다. 『대학신문』 사회면은 이른바 ‘기삿거리’와 관련해 일간지와 주간지 사이의 애매한 처지에 놓여 있다. 시의성은 일간지를 따라가기 어렵고 주간지만큼 모든 기사를 전문적으로 작성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대학신문』에 사회면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대학신문』 사회면의 장점은 ‘대학생’이 주체인 신문이라는 것이다. 기성 언론이 주요 정치권과 사회단체의 입장을 전하는 데 그친다면, 대학신문의 기자들은 이런 사안들을 대학생의 현실과 연관 지을 수 있다. 더불어 오랜 준비 기간을 토대로 기성 언론보다 심층적인 기사를 작성할 수 있는 것도 또 다른 장점이다. 특히 매 학기 여러 차례 실리는 기획기사들은 사회면만의 독특성과 기자들의 색깔을 담고 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1883호 사회면의 기사들은 위의 장점들을 살렸다고 보기 어렵다. 6면 ‘참여연대 20년을 돌아보다’ 기사는 참여연대 20년의 시의성은 인정하지만 때문에 많은 언론들에서 지겹게 보도했을 내용이며 발제 자료를 요약한 수준에 불과하다. 오히려 관악에서 학내정치조직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대학생 시민운동을 조망했다면 어땠을까?

‘관리비, 부르는 게 값? 청년의 어깨가 무겁다’ 기사는 그래픽과 내용의 관련성을 찾기 힘들며 내용도 보고서와 판박이다. 그래도 대학생과 밀접한 문제인 관리비 실태를 다뤘다는 점은 고무적이나, 내용은 본교의 학생들의 현실과 맞닿아 있지 못하다. 관리비로 고생했던 학우들의 얘기는 접하기 쉬우므로 조금만 더 발품을 팔았으면 좋은 기사가 나왔을 것이다.

한편 10·11면의 ‘대학 구조조정, 정원감축을 넘어 역량강화로 이어지면’ 기사는 2면을 차지하지만 심층성이 부족하다. 대학 구조조정의 이면에는 △상급학교 진학 욕구 △고등교육과 취업 시장의 상관 같은 근본적인 문제들이 있다. 따라서 대학 구조조정의 대안은 ‘좋은 구조조정’이 아니라 한국의 획일적인 중등교육이나 청년 고용 문제 등에서 찾을 수도 있다. 더불어 ‘좋은 구조조정’이 가능한지, 보편 교육체제가 많은 사람들의 대학 진학만을 의미하는지 고민한 흔적이 보이지 않아 아쉬웠다.

독자들은 취재면, 학술면, 문화면을 보면 모르는 사실을 알게 돼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반면 사회면에 대해서는 누구나 조금씩은 기성 언론을 통해 접하기 때문에 고개를 갸우뚱거릴 것이다. 그러나 그런 만큼 기자들이 독창적인 색깔과 심층적인 시각을 기사에 더한다면, 사회면이 『대학신문』 독자를 끌어들이는 유인이 되지 않을까? 오랜 기간 사회면을 지켜본 독자로서 다음 호의 사회면을 기대해본다.

장도현
윤리교육학과·09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