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지영 석사과정
국제대학원

우리 사회에서 행복과 삶의 가치에 대한 논의는 아직 얕은 편이다. 사회는 많이 변했지만, 여전히 성공한 삶에 대한 정의는 단편적이며,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볼 기회와 시간은 현실적으로 부족하다.

해외 대학에서 학부생활을 하고 있던 어느 날, 내가 유학을 결심하게 된 나의 꿈이란 실체에 대한 고민에 부딪힌 적이 있다. 거창하고 화려하게 포장했을지 몰라도, 나도 본질적으로는 유명하고 좋은 학교를 졸업하여 누구나 부러워하는 직업을 갖고 인정받으며 여유롭게 살고 싶었다. 이런 삶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내가 성공이라 생각하는 모습이 한정돼 있음과 행복에 대한 가치 확립이 부족함을 깨달았고, 성취욕으로 그려진 막연한 환상 때문에 가끔 혼란스러운 나를 발견하기도 했다. 어쩌면 우리나라는 지난 역사에서 소위 헝그리 정신의 절실함이 사회의 가장 큰 원동력이었기에, 출세가 행복과 직결되던 예전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지금, 비정상적으로 높은 학구열과 아직도 모두가 같은 모습의 성공을 향해 달리는 결과를 만들어내지 않았느냐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대학에서 만난 친구들이 원하는 직업과 삶의 모습이 꽤 다양함에 놀랐다. 이는 분명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재능이 인정받고, 다양한 가치가 존중되며, 다양한 형태의 삶이 누려질 수 있는 사회가 형성돼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대체적으로 우리나라보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은 『제국의 미래』에서 에이미 추아가 강조했던 당대 역사적 초강대국들의 공통적인 ‘관용’이란 가치가 사회 구성원들끼리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정책적으로도 사회계층의 유동성이 보장되는 형태로 널리 실현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우리나라도 점진적으로 산업구조 및 제도 개편, 교육과 의식의 변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가 일어나야 하는데, 그 구체적인 방향성, 필요성, 지속성은 결국 지금 20대가 기존의 교육방식과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현재 과도기적 사회에서 각자의 삶과 행복의 가치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 결과로부터 돋아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은 지속적으로 둔해질 수밖에 없으며, 기존의 세대처럼 더 나은 생활 수준과 가족을 위한 무조건적인 희생이 당연시될 수 없다. 또한 민주주의의 가치만 강조하기엔 우리나라 정치상황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이제 미래를 향한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는 어느 신문기자의 말에도 나는 동의한다. 누구보다 풍족하고 개인의 권리가 보장되며 빠르고 복잡한 시대에 태어나고 자란 우리 세대는, 자신의 삶을 이끌고 나갈 원동력을 더 이상 배고픔도 투쟁도 아닌 무엇에서 찾고자 하며, 글로벌시대에 걸맞은 선진화된 한국사회란 어떤 모습이고 새롭게 물려주고 싶은 행복의 가치는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카아는 역사는 변화하지만, 그것을 단순히 진보로 포착할 수는 없다고 했다. 앞으로 30~40년 후의 더 건강하고 발전한 우리나라의 모습은 지금 우리 세대가 각자 미래의 행복과 지키고 싶은 가치에 대해 어떻게 고민하는가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