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친일 청산에 관련한 토론 프로에 출연한 한 교수님에 대한 여론이 뜨겁다. 일련의 사태를 지켜 보며 나는 두 가지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하게 되었다.

 

첫째, 언론의 무책임한 왜곡 보도가 도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사건의 발단은 조선인 위안부를 총독부에서 강제 모집했다는 한 패널의 주장에 이 교수가 학문적인 의문을 제기한 발언 때문이라고 알고 있다. 이 교수는 강제 동원이라는 표현에는 찬동하지만 거기에는 일부 조선인 브로커가 조직적으로 개입해 여성들을 일본군의 성노리개로 삼게 했다고 주장하면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 총체적인 반성 역시 중요하다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 그러나 오마이뉴스는 이를 받아 “위안부는 공창제”라는 선정적인 제목의 기사를 실었고 심지어 극우 일본인들의 주장과 상치시키기도 했다. 반인륜적인 전쟁범죄는 공소시효 없이 처벌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생략하고, 직접 거론하지 않은 말까지도 기사화 하면서 일부 발언을 왜곡 확대하여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자아내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침소봉대식 기사쓰기는 오마이뉴스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언론개혁의 대상으로 삼는 이른바 “조중동식 언론왜곡”이 아니었던가?

 

 

둘째, 역사적 순결을 강조하는 국사 교과서적 지식만을 가지고는 제대로 된 친일 청산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감추어진 우리의 부끄러운 역사까지도 제대로 밝히고 그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하려는 자세 역시 역사 바로 세우기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식민지 시기의 모든 거악의 근본은 일본 제국주의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거기에 적극 부역해 선량한 동포를 이용한 우리 내부의 과오 역시 과소평가될 수 없다. 그러한 과거를 밝히는 것은 결코 위안부 할머님들의 존엄성을 해하는 것도, 일제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것도 아니다. 진지하면서도 사실적인 역사 접근을 통해 우리는 일제시대의 냉혹한 실상에 접근해 갈 수 있으며 그러한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을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친일 청산의 문제는 교조적으로 접근해서는 풀리지 않을 문제이다. 열린 마음은 과거를 밝히고, 그러한 과거를 청산하는 데에 절실히 필요하다.

 

최성진

경제학부 석사과정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