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가 수강신청 취소(드랍) 허용 기간을 수업 일수의 1/2에서 1/3로 단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학사과는 지난달 30일 관련된 내용을 학내 기관에 전달했으며 총학생회(총학)에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 4일(수)까지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학생들은 갑작스러운 개정안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으며 총학은 본부가 지나치게 짧은 시간 내에 학생 의견을 수렴할 것을 요구한 것을 비판했다.

드랍 허용 기간은 학생의 수업 선택권과 학사 운영의 엄정성 유지에 대한 논의 속에서 연장과 단축을 거듭해왔다. 수업 일수의 1/2선이었던 드랍 허용 기간이 1998년 수업 일수의 1/3로 축소된 이후 재수강생 증가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으며 학사 운영의 중심을 수요자인 학생에게 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드랍 허용 기간은 2006년 수업 일수의 1/2로 개정돼 현재까지 이어졌다.

이번 논의의 배경에는 타 대학에 비해 긴 드랍 허용 기간이 강의 수준의 하향평준화를 야기하고 학사 운영에도 어려움을 준다는 지적이 있다. 학사과는 “중간고사 결과를 확인한 뒤 바라는 결과를 얻지 못한 학생들이 강의를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쉬운 강의에만 학생이 몰려 전반적인 강의 수준이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또 학사과는 “중간고사 기간 이후 다음 학기 강의 개설 규모를 결정한다”며 “드랍 허용 기간 후 인원 변동이 큰 강의의 경우 언제를 기준으로 할 지 애매하다”고 지적했다.

수강신청 취소로 학생들이 수업에서 이탈하면서 수업 분위기가 흐트러지고 수업 진행에 차질이 생긴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김현균 교수(서어서문학과)는 “중간고사 이후 드랍할 수 있다 보니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지 않거나 조별 과제가 있는 수업의 경우에는 이탈한 학생으로 인해 수업 방식 자체를 변경해야 할 때가 있다”고 말했다.

총학은 각 단과대 대표에게 본부의 요청을 전달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수합해줄 것을 요청했으며 많은 학생들은 드랍 허용 기간 단축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김승연 씨(인문계열·15)는 “학생들의 자율성을 존중한다면 학생이 수강하는 과목에 대해 판단할 충분한 시간을 주는 것이 당연하다”며 “학생들이 수강을 포기하는 이유를 생각해보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총학은 드랍 허용 기간 단축이 학생의 자율권을 침해한다며 반대하는 동시에 학사과의 요구가 갑작스럽게 전달된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주무열 총학생회장(물리천문학부‧04)은 “일주일도 안 되는 시간 내에 학생들의 의견을 모은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런 일방적인 방식의 학사 운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학생 대표가 학사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후 대응에 대해 “총운영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할 것”이라며 “본부 논의의 방향에 따라 총학 차원에서 학생 의견 수렴 창구 마련이나 대자보 게시와 같은 방안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학사과는 드랍 허용 기간을 단축하는 안건은 아직 논의 중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학사과는 “수업 일수의 1/3이라는 기간도 하나의 방안에 불과하다”며 “더 나은 대안이 있다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드랍 허용 기간 단축안이 확정되기 위해선 학사운영위원회와 규정심의위원회 등에서의 논의를 거쳐야 하며, 확정될 경우 이르면 2017학년도 학사일정부터 반영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