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철이 다가오면서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 대해 교육계의 논란이 뜨겁다. 지난달 27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전국 197개 4년제 대학의 ‘2018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학종 정원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발표 후 교육시민단체와 교사단체, 서울시교육청 등에서 관련 입장을 내놓으며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교육부는 이달 안에 토론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후 필요한 경우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학종은 성적뿐 아니라 학업에 대한 노력, 의지, 잠재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시작됐고, 꾸준히 그 비중을 늘려왔다. 2018학년도 학종 선발 인원은 전년 대비 1만 1,130명이 늘어난 8만 3,231명으로 전국적으로 전체 전형의 23.6%를 차지하고, 서울지역 주요 15개 대학에서는 40%, 서울대에서는 79%를 차지할 정도다. 일선 교사를 중심으로는 학종을 통해 공교육이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긍정적 반응이 주를 이룬다.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일선 진학 담당 교사들의 73% 가량이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는 설문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종을 균형감각을 갖고 시행하는 게 고교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다”며 “교사들도 이 전형이 대입에서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학종에 대한 여러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학종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운다는 목소리가 높다. ‘혹시나 도움이 될까’ 하는 마음에 갖가지 생소한 경시대회를 준비하거나, 불안한 마음에 학종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을 알려주는 고액의 학원 컨설팅을 받는 경우도 많다. 특히 비교과 평가 항목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사교육이 성행하면서 학종은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구본창 정책국장은 “학부모나 학생들 입장에서는 써내면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을 하게 된다”며 “대학들이 ‘반영하지 않는다. 적지 말라’는 기준들을 좀 더 명확하게 내놔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밖에도 소수의 상위권 학생에게 비교과 항목 스펙을 몰아주거나, 교사가 써야 하는 학생부 내용을 학생 자신이 직접 써오게 하는 부작용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오현 서울대입학관리본부장은 이와 관련해 “학생부 신뢰도는 학종 운영의 핵심 요소이므로, 학생부를 교사가 직접 쓰지 않는 부작용이 생기는 것은 문제”라며 “교육 당국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학종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오명을 벗고 공교육 정상화라는 본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각 대학과 교육 당국은 적극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고 미미한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 이미 여러 시민단체와 서울시 교육청 등에서 다양한 개선방안을 내놓은 상태다. 섣불리 학종을 폐지하거나 전면 축소시킬 것이 아니라, 학종이 온전히 정착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 등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