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에게 묻다

본지는 『제국의 위안부』를 둘러싼 논란에 대한 저자 본인의 입장을 듣기 위해 해당 저서의 저자 박유하 교수(세종대 일문과)와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다.

▶ 국사학계에서는 『제국의 위안부』의 학문적 가치를 높게 보지 않는 듯하다. 형사재판부는 『제국의 위안부』를 “학술적 성격의 대중서”라고 했다. 『제국의 위안부』는 학술서인가, 대중서인가?

학술서다. 주석을 넣어 논문의 형식을 갖출 수 있는 책이지만 일반인들도 읽을 수 있게끔 형식과 문체를 일반서로 했을 뿐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기존 책들과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기존에 ‘전쟁범죄’의 틀에서 다뤄지던 ‘조선인 위안부’를 가난을 비롯한 식민지 시대의 구조적 문제로 다룬 것도 그 중 하나다.

▶ 제목과 달리 ‘위안부’ 자체보다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같은 지원단체를 비판하기 위한 책 같다. 그런데 ‘위안부’ 문제가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놓이는 데에는 정대협을 주축으로 한 인권운동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많다.

정대협이 세계 여성계에 ‘위안부’ 문제를 제기한 것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단, 공론화 과정에서 정대협이 처음부터 ‘강제연행=법적 책임’이라는 입장을 세워두고 이를 고수하려다 보니 문제가 생긴 거다. 정대협은 10년 전부터 ‘위안부’ 문제가 강제연행이 아니라 인신매매 중심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2004년에 나온 보고서를 최근 봤는데, 정대협은 내부적으로는 알고 있으면서 외부적으로는 알리지 않고 일종의 ‘이중 플레이’를 한 셈이다.

20년 전 일본인들은 이 문제에 대해 반성적이었다. 그런데 지금 일부 일본인들은 단교하자고 한다. 사죄의식은 사라지고 마음을 닫았다. 나는 이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할 정대협 내부에서 운동방식에 대한 반성이 없는 것을 비판한 거다.

▶ 『제국의 위안부』 발매 및 무죄판결이 갖는 의의는?

2013년 초판 출판 이후 긍정적인 리뷰들이 꽤 나왔다. 이때 나는 이미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인식에 다른 방향을 제시했다. 일본에는 내 책을 읽고 ‘위안부’ 문제에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됐다는 사람들이 많다. 또 고발이 되면서 원고 측 의도와는 무관하게 『제국의 위안부』가 더 많이 읽혔다. 이번 무죄판결로 『제국의 위안부』에 담긴 내 인식에 문제가 없음이 밝혀졌으니 한국에서도 좀 더 많이 읽혔으면 한다.

▶ 마지막으로 ‘학문의 자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이니 당연히 지켜져야 한다. 나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학문의 자유’로 허용되지 않는 것도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제국의 위안부』에는 말해지면 안 된다거나 명예를 훼손했다고 할 만한 얘기가 아예 없다. 따라서 『제국의 위안부』는 ‘학문의 자유’로 논란이 될 책이 아니다. 덧붙여 나는 ‘자발적 매춘부’라고 쓰지 않았다. 물론 자발적으로 간 사람이 있다고 썼다 해도 ‘학문의 자유’로서 지켜져야 한다. 또 이들은 가족을 위해 희생한 누이들이니 ‘자발적 매춘부’라는 말에 담긴 차별의식이 더 문제시돼야 한다.

박 교수는 “2년 반 이상, 하지도 않은 말들로 비판을 많이 당했다”며 앞으로도 재판과 집필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히고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역사를 마주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역설하던 박 교수의 목소리에는 강한 확신이 담겨 있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