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립대 총장 선출에 있어서 대학의 자율권을 보장하겠다고 공언함에 따라 총장 선출을 앞둔 여러 대학에서는 총장 선출과 관련해 구성원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총장 선출이 8개월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서울대에서도 총장 선출제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고, 적어도 10월 중에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을 위한 큰 그림이 그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사회, 교수협의회, 총학생회, 대학원총학생회, 직원노조 등 여러 학내 구성원들 사이에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커 제대로 된 개선안이 도출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현재 총장 선출 제도는 학내 구성원의 대표성이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현행 제도에서 총장 선거는 무작위로 추출된 일부 교직원으로 이뤄진 정책평가단의 의견이 40%, 평의원회와 이사회에서 추천한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의 의견이 60%의 비율로 반영돼 최종후보자 3명을 선출한 뒤 이사회가 선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이사회는 7월 28일 총추위에 참여하는 교직원 비율을 늘리고 동문, 학생도 일부 참여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는 총장 선출 제도 개선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교수협의회는 긴급여론조사를 실시해 이사회의 개선안은 학내 구성원 반영 정도가 부족하므로 정책평가단의 반영 비율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총학생회와 대학원총학생회는 이사회의 개선안에서 정책평가단 학생 참여 비율을 4.8%로 정한 내용이 형식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의 총장 선출제도가 대표성이 보장되는 방법인지를 되물어보고 선출방법의 변환을 꾀할 필요가 있다. 대학의 최고 운영권자인 총장을 어떤 방법으로 선출하는가 하는 것은 대학 운영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를 결정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현재의 제도에 따르면 총추위에서 이사회에 추천한 총장 후보들을 순위와 상관없이 다시 투표해 결정하고 있다.

이에 교수협의회는 이사회가 최종후보에 대해 득표순위 차례로 가부를 투표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총학생회에서는 좀 더 직접적인 선출방식인 총장 직선제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하반기 총장 선출을 앞둔 제주대의 경우 지난 6월 총장 임용 후보자 선출 선거방식을 정하기 위해 대학 구성원 투표를 실시하고, 투표결과에 따라 총장 직선제 선출방식을 최종 채택했다.

현 정부가 총장 선출에 있어 대학의 자율권을 보장하겠다고 한 것은 국립대 운영에 있어 과도한 간섭을 일삼던 지난 정부의 정치적 행태에 대한 반성과 민주적 교육 공동체로서의 대학 사회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지금은 어느 때보다도 총장의 교육적 리더십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학내 구성원들이 총장 선출을 둘러싼 개선안에 거는 기대가 크다. 따라서 학내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서울대의 글로벌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총장 선출 제도가 마련돼 학내 구성원들의 이해관계를 보다 잘 대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