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열린 2017년 하반기 정기 전체학생대표자회의(전학대회)가 정족수를 간신히 넘긴 인원으로 어렵게 개회됐다. 하지만 안건 처리 순서라는 비본질적인 문제가 불거지면서 예·결산안 심의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다가 중요한 논의 안건이었던 시흥캠퍼스 대응 기조 결정이나 학생회원 지위에 관한 조항 개정안 등은 전혀 다루지 못한 상태에서 폐회됐다. 대표자들 내에서도 전학대회 논의 과정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고 지난 10일(화)에는 총학생회 중앙집행위원회와 총학생회 산하 4개 기구가 대자보를 통해 임시 전학대회를 열 것과 전학대회 운영상 미숙과 실수를 드러낸 총운영위가 사과와 해명을 할 것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오는 21일 임시전학대회를 열어 다루지 못한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임시 전학대회만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들이 해결될 수 없다. 우선 전학대회가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무산되는 일이 반복돼서는 안된다. 불참과 지각으로 인한 정족수 미달, 그에 따른 전학대회 무산은 한두 번이 아니다. 올해에도 상반기 정기 전학대회는 두 차례나 무산됐다가 학기가 다 끝난 7월에서야 겨우 개최됐고 이번 하반기 정기 전학대회도 무산될 뻔했으나 정족수를 간신히 넘겨 가까스로 개회했다.

그러나 전학대회 무산이나 개회 시간 지연 등을 초래하는 대의원들의 불성실한 태도만을 문제 삼기는 어렵다. 보다 근본적으로 효율적인 회의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들은 다양하다. 우선 전학대회에 상정되는 안건을 지금보다 일찍 공지해야 한다. 현재는 안건이 미리 공고되지 않거나 전학대회 하루 이틀 전에야 공고됨에 따라 대의원들이 전학대회 참석 전에 소속 단위 구성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기 어렵고 대의원 스스로도 안건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학대회에서 불필요한 토론과 중복된 의견 표출로 이어진다. 전학대회 회의운영 시행세칙 제2조 6항의 2에 따르면 ‘전학대회는 결정의 자리이기에 자유토론과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예·결산안에 대한 심의도 구체적인 심의의 경우 다른 세부 회의나 총운위 등의 위원회에서 안건을 확정한 후 전학대회에서는 이를 추인하는 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확대하면 다양한 위원회를 활성화해 세부적인 논의는 위원회에서 진행하고 전학대회는 의결 중심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학대회는 비정기적으로 열리는 전체학생총회가 개회되지 못할 시 그 최고결정권을 위임받은 최고의결기구로, 총학생회장단을 비롯해 단과대학생회, 동아리연합회장, 학부/과/반 학생회의 대표가 참여하는 명실상부한 대표자 회의이다. 그러나 최근의 전학대회에서는 무책임한 대의원들의 회의 태도와 일반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체제, 비효율을 야기하는 구조적 결함 등 여러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전학대회가 진정한 대표자 회의로 거듭나려면 전학대회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체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