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9일 개막했던 ‘2018 평창 동계올림픽’부터 3월 18일 폐막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까지 올겨울을 뜨겁게 달궜던 스포츠 축제가 마무리됐다. 대회 운영 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고, 봅슬레이, 컬링, 매스스타트 등의 종목에서 좋은 성과를 내며 한국 동계스포츠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기대가 크다. 하지만 축제의 열기가 가라앉은 이후 남겨진 과제는 간단치 않다. 경기시설의 사후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도 재점화될 것이지만, 인기종목이나 메달권 선수 중심의 지원 관행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전까지 많은 선수가 ‘인기가 없는 종목’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받아온 경우가 많다. 컬링이 ‘촌외 종목’에 해당해 선수들이 선수촌 식당을 이용하지 못하고, 썰매 종목의 전용 경기장이 없어 봅슬레이팀이 아스팔트 위에서 훈련해온 것은 이미 유명한 일화다. 이런 열악한 환경을 딛고 선수들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주목을 받게 된 종목들에조차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운영 주체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문제를 내세워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를 폐쇄했고, 대한체육회는 ‘인원이 적다’는 이유로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의 상비군을 사실상 해체했다. 또 이천의 장애인 선수촌엔 아이스링크가 자체가 없음에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

비인기 종목을 포함해 고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올림픽과 같은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함만은 아니다. 우리 사회에서 동계스포츠는 오랫동안 엘리트 체육이라는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했지만, 그동안 그 저변이 빠른 속도로 확장되면서 많은 국민들의 생활 속으로 녹아들어 간 것이 사실이다. 다양한 종목의 경기장을 설립 및 유지하고, 기본적인 장비를 갖추는 것의 보다 근본적인 사회적인 의미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일반 국민들이 보다 쉽게 동계스포츠를 접할 수 있는 인적, 물적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스포츠의 사회적 순기능이 발현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국제대회에서 우리 선수들이 지속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게 되는 것도 이같은 튼튼한 기초가 마련될 때 가능할 것이다.

이번 동계올림픽을 통해 드러난 몇몇 선수들의 영웅적인 노력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 감동을 주지만, 다른 한편으로 한국의 스포츠가 언제까지 예외적이고 개인적인 노력에만 기댈 수 있을지를 생각하게 한다. 다양한 종목의 균형 잡힌 발전을 위한 관심을 촉구하고 지원을 계속하는 것은 한국 스포츠의 국제적인 경쟁력뿐만 아니라 스포츠의 사회적인 역할을 북돋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조건이다. 경기장이나 장비 등 지방자치단체나 연맹 차원에서 해결하기 힘든 사업의 경우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