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호
기계항공공학부 석사과정

기계는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다. 비단 1차 산업혁명 당시의 크고 묵직하게 돌아가는 기계뿐만 아니라 태초의 인류가 사용했던 뗀석기도 이런 역할을 해왔고, 오늘날엔 실체가 없는 인공지능까지도 이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사람과 기계 사이의 관계는 아주 오래됐으며, 미래에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것이다.

오늘날의 기계와 로봇은 작업수행능력 측면에서 이미 사람의 것을 뛰어넘었으며, 인공지능 또한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경기에서 볼 수 있었듯이 사람의 사고체계의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계가 인간의 모든 것들을 대체하고 더 나아가 인간을 위협하며 공존할 수 없을 것이라는 미래를 그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기계가 주로 필요한 제조·가공업 기반 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많은 인력이 위의 산업 현장에 투입돼왔기 때문에 만일 완전 자동화에 의해 로봇이 사람이 하는 일을 모두 대체하게 된다면 노동자들이 대규모로 일자리를 잃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또한,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수 있는 직업들도 같은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다.

기계, 로봇 및 인공지능에 대한 회의론은 19세기 초 영국에서 일어난 러다이트 운동에 비춰 생각해 볼 수 있다.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기 때문에 일자리를 잃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기계 파괴 운동을 벌인 것이었으며, 이는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가 자동화 기계로 바뀌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생긴 일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러다이트 운동의 본질은 자동화 기계의 도입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생길 빈부격차와 사회적 불평등에 있다. 즉, 객관적인 삶의 질인 기술, 자본 수준보다는 주관적으로 사람답게 만족하며 살 수 있는 환경이 가장 큰 문제인 것이다.

물리적 노동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등에 의해 정신적 노동까지 대체될 수 있는 현재는 과거의 노동 대체와는 상황이 매우 다르다. 완벽할 수 없는 인간의 모든 점을 기계와 로봇이 거의 완벽하게 수행해낼 수 있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어떤 행위 기반의 자아실현을 이뤄내기 어렵고, 그를 통한 만족을 얻기도 어렵다. 또한, 로봇 및 인공지능을 설계하는 직업이나 근본적인 정책을 만들어 내는 직업 등이 부를 독식해 큰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즉 객관적인 삶의 질은 높아지겠지만, 자아실현 및 사회적 불평등 면에서 주관적인 삶의 질은 더욱 악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모습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인류가 과연 피할 수는 없는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은 분명하지 않지만 명백한 사실은 모든 기술개발에서 사람의 행복이 무엇보다 우선시돼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을 개발하는 공학자, 정책 관련자들은 이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하며,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수 있는 기존 직업 종사자들이 새롭게 할 수 있는 것들을 고려해 기술 개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개인의 자아실현 기회 증진 및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힘써야 할 것이다.

기계의 발전은 피할 수 없고, 인류가 밟아왔던 행적에 비춰 보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문제점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미리 어떤 문제가 생길지 생각하고 준비한다면 객관적인 삶과 주관적인 삶의 질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