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위원회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다양성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달 1일에 발표된 「서울대학교 다양성보고서 2017」은 서울대 국제화 현황을 제시하고 제도 개선 방안을 제언했다. 그뿐만 아니라 2016년도 보고서에서도 살펴본 내용을 다뤄 지난 1년간의 학내 다양성 지표 변화를 보여줬다. (『대학신문』 2017년 10월 23일자)

이번 보고서의 특집인 ‘국제화의 현황과 과제’에선 △외국인 구성원 현황 △외국인 학생 교육 환경 △국제 교류 등이 다뤄졌다. 서울대 외국인 교원 수는 2013년 이후 감소하다 최근 정체돼 있으며 전체 학위과정 유학생 수 또한 지난 3년간 답보 상태다. 다양성위원회는 “서울대에 첫 외국인 전임교원이 임용된 2005년 이후 외국인 교원과 학생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했으나 최근 몇 년간 정체 상태에 놓여 있다”며 “외국인 구성원 비율이 증가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그에 걸맞은 교육, 제도, 문화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유학생을 지원하는 제도 마련이 강조되기도 했다. ‘서울대 외국인 학생 지원 방안 연구’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당수 유학생이 언어 장벽으로 인해 서울대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설문 조사(외국인 학위과정 학생 432명 응답) 응답자의 43.8%는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한국어 능력 부족을 꼽았다. 이에 다양성위원회는 “그동안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 영어 진행 강의가 늘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있었다”며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 노력도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적었다. 이외에도 다양성위원회는 국제화를 위해 △중요 자료 영어 업데이트 △영어 진행 강의 내실화 △문화 다양성 교육의 확대 등의 정책을 제언했다.

한편 지난해 보고서에서 지적됐던 성비 불균형 문제는 이번 보고서에서도 다뤄졌다. 전임교원 중 여성 비율은 15.5%로, 학부생 중 여성 비율(35.8%), 대학원생 중 여성 비율(44.5%), 비전임 교원과 연구원 중 여성 비율(45.7%)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았다.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유리천장은 존재했다. 여성 교원의 학내 주요 보직, 주요 위원회, 평의원회 참여비율은 각각 10.4%, 16.3%, 11.1%로, ‘양성평등기본법’에서 제시한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 최소비율인 40.0%의 절반 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다양성위원회는 여성 교원 임용 및 여성 참여를 제도화하는 규정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여성 교원이 한 명도 없거나 10% 미만인 65개 학과·학부·교실은 적극적으로 여성 임용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회엔 대학 신규 교원 채용 시 소수 성별을 고려하도록 하는 ‘교육공무원법 개정안’이 상정돼 국회 심의를 받는 중이다. 하지만 ‘교육공무원법’이 개정되더라도 시행령이 마련된 뒤 실제로 대학에 적용되기까진 일정 기간이 소요된다. 다양성위원회는 “법 개정과는 별도로 서울대에서 자체적으로 신임 교원을 뽑을 때 여성을 적극적으로 임용하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대학교 다양성보고서 2018」엔 비전임 교원 및 연구원 현황이 특집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다양성위원회 홍기선 위원장(영어영문학과)은 “2017년 10월 기준 비전임 교원 및 연구원이 3,508명”이라며 “현재 ‘서울대 비전임 전업 인력의 현황과 문제점’ 연구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