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후 남한의 이승만정권은 ‘북진통일론’, 북한의 김일성정권은 ‘국토완정론’을 주장하며 무력통일을 목표로 했다. 이승만의 반공 독재가 흔들리기 시작한 1950년대 말, 남한에서는 진보 세력을 중심으로 남ㆍ북 정부간 정치적 협상 과정을 중시하는 평화통일론이 대두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이 들어선 후 평화통일논의는 급속히 위축됐다. 박정희 정권은 반공을 국시로 내걸고 ‘선건설 후통일’을 주장, 통일문제에 대한 언급을 사실상 금기시했다.   

1970년대 국제사회의 탈냉전 분위기와 함께 남북 화해무드가 조성됐고, 1972년 남북한 당국은 ‘7ㆍ4 남북공동성명’에서 자주ㆍ평화ㆍ민족대단결이라는 통일의 3대 원칙에 합의했다. 그러나 남북간 대화는 곧 중단돼 남북관계 개선은 거의 이뤄지지 못했고, 오히려 1970년대 말 ‘신냉전’기에 남북관계는 더욱 악화됐다. 1980년 북한은‘고려민주연방제 통일안’을 제안하며 선결조건으로 남한사회의 민주화, 주한미군 철수 등을 요구했다.

정치군사적 대결상태 해소를 중시했던 북한과 다각적인 교류ㆍ협력을 우선했던 남한이 서로 양보해 합의한 것이 1991년의 ‘남북사이의화해및불가침및교류협력에관한합의서’와 ‘한반도비핵화에대한공동선언’이다. 남ㆍ북 당국의 공식적 논의 외에도 1989년 전대협 대표 임수경이 평양에서 열리는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고, 조국통일범민족연합이 결성되는 등 대중적 통일운동도 활발히 일어났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조문파동 이후 급속도로 냉각된 한반도 정세는 1998년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통해 다시 완화됐다. 2000년 남북정상은 ‘6ㆍ15 남북 공동선언’에서 통일문제의 자주적 해결, 1국가 2체제의 통일방안, 남북간 교류의 활성화 원칙에 합의했다. 북핵문제 등의 악재가 있지만 이산가족 상봉, 개성공단 착공 등은 ‘6ㆍ15 남북 공동선언’이 남북관계에 끼친 긍정적인 결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