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열린 47대 총학생회와 교무처, 기초교육원의 면담에서 학번의 끝자리로 수강신청일을 나누는 이른바 ‘홀짝제’의 도입이 결정되면서 새로운 수강신청방식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일단락됐다. 이제 수강신청 첫날 수강신청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은 다시 접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결정은 단지 수강신청시스템의 과부하 및 그로부터 파생하는 일부 문제들만을 해결할 뿐이다. 학생들의 수업권 확보와 관련된 현 수강신청 방식의 문제들은 여전히 남겨져 있다. 많은 학생들이 듣고 싶어 하는 강의들은 다음번 수강신청기간에도 누가 더 빠르게 접속해서 신청을 하느냐에 따라 수강자가 결정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수업을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 그 수업을 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므로 현재의 수강신청 방식은 학생들의 수업권을 침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에 최대한 부합할 수 있는 제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은 매우 부족해 보인다. 무작정 ‘인기’강좌들을 대폭 확대하는 방식은 지양하더라도, 일정 정도 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해 강좌 개설 수를 조정한다거나 현재 일부 과목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처럼 학과별, 수업별 특성에 따라 단순한 선착순이 아닌 별도의 기준을 두어 수강생을 선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기 수강신청제도’나 ‘수강신청 대기제도’ 등은 우리 학교에서도 그 도입을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한 방안이라 판단되고, 조금 더 적극적으로 나아가 학생들에게 ‘수업개설권’을 보장하는 방식도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시 한번 말하자면 수강신청제도의 개선은 행정적인 차원의 문제로만 환원될 수 없으며, 학생들의 수업권과 민감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대안 마련을 위한 대학본부의 책임감 있는 접근이 요구되나 그동안 대학본부가 이에 대해 고민해 왔던 흔적은 쉽게 찾아 볼 수 없다. ‘홀짝제’ 역시 ‘학년별 쿼터제’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학생회 측에서 제시한 방안이 아니던가. 앞으로는 대학본부가 수강신청방식 개선과 학생들의 수업권을 보장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