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동창회 사무총장이 지난주 목요일 사퇴했다. 이로써 1년여를 끌어오던 총동창회의 내홍이 일단 봉합됐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인해 드러난 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언제든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할 수 있다. 이에 40만 동문과 서울대의 모든 구성원은 총동창회가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는 제도와 지속적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획이 수립되기를 강력히 바라고 요구하고 있다. 

총동창회는 2017년 3월 정기총회에서 회장 추대위원회가 회장을 추대하도록 회칙을 변경했고 이에 따라 2018년 3월 현 신수정 총 동창회장이 선임됐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30명으로 구성된 추대위 명단도 공개하지 않았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회장이 추대됐는지도 밝히지 않았다. 이러한 밀실 추대의 결과는 회원 간의 불신과 분란이었다. 회장 선임을 둘러싸고 벌어진 갈등은 올해 정기총회의 참여 신청 문제와 관련해 극에 달하게 됐다. 회칙개정안 발의가 이뤄질 정기총회를 앞두고 총동창회는 정기총회의 인원수를 제한하며 예정된 공지 일자보다 일찍 접수를 마감했을 뿐 아니라 접수 마감을 공지한 후에도 일부 회원들만 골라 접수를 받기도 했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등의 배경에는 박승희 사무총장이 있었다. 사무총장이 임기 제한도 없이 총동창회를 사조직화하고 있다는 불만이 회원들로부터 터져 나왔다.

이번 사태를 통해 총동창회의 폐쇄적이고 불투명한 운영이 드러났다. 총동창회에선 그동안 여러 차례 회칙 개정을 통해 상임이사회의 권한을 축소해 회원들이 총동창회의 운영 방식에 대한 정보를 얻을 길을 점점 막아왔다. 명단조차 밝히지 않은 ̒회장추대위원회̓는 비공개적으로 회장을 추대 선임했다. 국가발전을 위해 의미 있는 역할을 도모해야 한다며 만들어진 ‘100인 위원회 자문회의’는 조직의 구성이나 역할 등에 대해서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자산 관리도 불투명했다. 총동창회의 자산 내역뿐 아니라 총동창회가 기금관리를 위해 만든 장학재단의 자산 현황 및 결산 내역이 수년째 회원들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수십억 원의 자금 집행을 관리할 재단이사 선임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대다수의 동문들이 총동창회가 뭘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입모아 말한다. 동문들을 총동창회로 이끌어낼 만한 의미있고 보람있는 사업에 대한 기획이 전무하다. 학내에 지어주기로 약속한 역사기록관을 위한 기금 출연도 계속 미루고 있고 정체불명의 졸속 콘서트 또한 언론의 질타를 받으며 학교에 여러 차례 혼란을 줬다. 총동창회가 서울대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하기는커녕 급기야 이번의 내홍 사태를 통해 학교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회원들과 미래의 회원인 재학생들이 총동창회에 대한 소속감과 자긍심을 가질 수는 없는 노릇이다.

서울대 총동창회는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공정한 제도를 확립하고 투명한 운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장기적으로 학교의 발전에 기여하고 사회에 공헌할 때, 동창회원들의 적극적 참여와 후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