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열린 생활협동조합(생협) 대의원 총회에서는 생협의 폐쇄적이고 부실한 운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생협의 부실한 운영을 둘러싼 문제는 재정난을 겪고 있으면서도 적절한 대책 마련 없이 외주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이에 외주화를 통한 생협의 재정난 타개가 적절하냐는 논란과는 별도로 생협 운영이 보다 개방적이고 투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생협 운영 상황이 어떠한지 학내 구성원들이 직접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생협은 그 운영에 있어 비민주적이고 폐쇄적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무엇보다 생협의 운영에 조합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별로 없다. 2017년 12월 기준 생협의 조합원 수는 8,811명이며 이 중 학생이 7,25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도 생협의 외주화에 따른 위탁업체 선정 과정에 학내 구성원의 의견이 수렴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생협의 운영 정보는 열람하기 번거로울뿐더러, 이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 불특정 다수가 열람할 수 있다는 이유로 생협은 홈페이지에 관련 정보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조합원을 포함한 학내 구성원들은 생협의 재정 현황과 그에 대한 대응 방식이 어떠한지 파악하기 어렵다.

생협은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수렴할 수 있는 기구를 두고 있음에도 적절히 운영하고 있지 못하다. 생협에는 학내 구성원에게 생협을 홍보하고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생협 학생위원회(생협학위)가 존재한다. 하지만 생협학위는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적절하게 수렴하지 못하는 등 부실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생협 대의원 총회에서도, 생협학위가 △학생 사회와 생협 사이 소통을 도모하는 역할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음에도 생협 수익에서 상당한 장학금을 받는 점 △총회 등에서 활동보고를 하지 않는 점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학내에서 생협의 재정 현황과 관련된 논란은 계속해서 제기돼 왔고, 이에 대한 문제의식은 학내 전반에 걸쳐 공유되고 공감돼 왔다. 생협 운영의 문제 해결은 수익구조의 개선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한다. 생협의 폐쇄적이고 부실한 운영에 대한 문제가 이번에 처음으로 제기된 것이 아니지 않은가. 생협은 조합원을 포함한 학내 구성원과의 소통 부족으로 학생 사회와 갈등을 빚은 바 있었다. 이런 비판을 발판 삼아 생협은 폐쇄적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전체 조합원의 의견을 모아 현재 생협의 운영난을 타개할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