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화) 공대 학생회 선거의 연장투표가 종료됨으로써 차기 단과대 학생회 선거가 일단락됐다. 전체 16개 단과대 중 4곳은 출마 후보자가 없어 선거가 무산됐고 11곳은 단독 후보가 출마했으니 선거다운 선거가 이뤄진 곳은 한 곳에 불과하다. 또한 그중 일부는 투표율 미달로 연장투표를 진행했고 나머지 학생회도 간신히 50%를 넘기는 투표율을 기록하며 어렵게 당선됐다. 나아가 현 총학생회장의 사퇴와 차기 총학생회(총학) 선거의 무산으로 인한 총학의 부재는 현재 학생사회가 처한 위기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2010년 이후 학생들에게 학내외 현안보다 취업 등의 개인적 문제가 더 우선시되는 세태가 가속화됐다. 자연스레 학생회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사그라들었다. 서울대는 제54대 총학 선거부터 제57대까지 모두 투표율 미달로 재선거를 치렀다. 연장투표를 통해서도 총학생회칙에 규정된 재적 회원 과반수의 투표를 이뤄내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낮은 투표율의 원인은 치열한 취업 경쟁 속에서 스펙 쌓기와 학점 따기에 치중하게 된 세태의 변화에서도 찾을 수 있겠지만, 기존 학생회가 가졌던 문제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다. 운동권 학생회가 학생의 이익이나 복지보다 사회 문제와 정치 개혁을 앞세움으로써 다수의 학생들이 운동권에 대한 반감을 가지게 됐다. 또 선거 과정이나 학생회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부정하고 부도덕한 측면은 학생회 자체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나아가 학생회의 필요성에 대해 회의하게 만들었다. 학생의 이익과 복지를 무엇보다 우선하겠다던 제61대 총학 또한 도덕적인 문제를 드러내며 사퇴함으로써 내년에 총학이 제대로 꾸려지고 운영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말았다.

종래에는 학내 의사결정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없거나 좁았고 이에 대한 문제 제기가 지속돼 왔다. 현재는 총장추천위원회나 평의원회의 규정 개정으로 학생 대표의 참여가 가능해지거나 참여 비율이 늘어나는 것과 같이 학생들이 학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정작 학생회의 부재는 그런 제도 개편을 무색하게 만들 수 있다. 대학 운영 주체로서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야 하는, 전체 학생을 대표하는 학생회의 존재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학교 당국만에 의한 의사 결정을 막고 각종 학내 이슈에 대해 적극적 자세로 참여하며 학생들의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 있고 능력 있는 학생회의 건설을 위해서는 학생 모두의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한다.

기득권을 가진 세력에 맞서 싸우며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제도의 개혁을 추구하며 정의를 세우는 데 있어 학생사회의 역할이 지대했던바 학생회는 그 역할을 앞으로도 담당해야 한다. 그러나 변화하는 세태 속에서 학생을 대표하는 집단으로서의 학생회가 학생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복지 개선을 위해 앞장서는 일 또한 도외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학생의 총의를 수렴해 학내에서 벌어지는 각종 문제들에 대해서도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마리, 아니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학생회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그런 학생회를 만들어내기 위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