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 근로 수당 지급 위해서는 식대 인상 불가피”

당초 보상 휴가 관련 합의 없어

주 52시간 근로 앞둔 혼란

식대 인상도 고려해야

양측 간 원만한 협의 필요

지난달 14일 전국대학노동조합 서울대지부(대학노조)와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비서공)은 생활협동조합(생협) 사측이 학생회관 및 동원관 식당의 운영 시간을 단축하고 그로 인해 임금이 조정된 것에 항의하며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대학신문』 2019년 11월 25일 자) 대학노조 측은 지난달 25일 생협 사측을 만나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주요 쟁점은 △노동자와 합의 없는 보상 휴가 도입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으로 인한 연장 근로 수당 감축 △동원관 식당 석식 제공 중단 및 학생회관 식당 배식 시간 축소다. 지난달 29일 이들은 다시 협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를 좁히지는 못했다.

이번 갈등의 주요 원인은 생협 사측의 보상 휴가 강요다. 2018년 단체 협약에서 생협 사측이 노동자의 연장 근로에 수당을 지급하거나 유급 보상 휴가를 제공하기로 결정됐지만,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선 노사가 서면으로 합의하지 않았다. 대학노조 이창수 부지부장은 “유급 보상 휴가가 스케줄표에 미리 짜여 나온다”라며 “사측이 연장 근로에 대한 수당과 유급 휴가의 선택지 사이서 독단적으로 결정을 내리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노동자가 스스로 노동에 대한 보상 방법을 선택하기 어려운 여건이라는 불만이다. 이에 대해 생협 사무처 관계자는 “연장 근로에 대한 보상 방법은 따로 합의한 적이 없다”라고 밝혔다. 비서공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11월에 식당 운영 시간을 단축하고 임의로 보상 휴가를 도입한 이후 노동자의 연장 근로 수당이 지난 10월보다 줄었다. 또한 학생회관 식당 조리사의 임금은 적게는 약 28만 원, 많게는 약 49만 원 감소했다. 이에 생협 사측은 약 13만 원에서 25만 원 사이의 금액이 감소했다고 반박했다.

생협 사무처 관계자는 식당 운영 시간 단축과 그로 인한 근로 시간 감소는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생협의 누적된 적자와 주 52시간 근로제 실시, 노동 강도 완화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라며 “지난 9월 생협 노동자의 주요 파업 이유 중 하나가 고된 노동 강도였던 만큼 노동 시간을 단축하다 보니 임금이 감소했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그는 “내년부터 최대 근로 가능 시간이 주 52시간으로 제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생회관 식당 조리사의 연장 근로 시간을 단축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창수 부지부장에 따르면 휴일 근로 시간까지 합친 학생회관 식당 조리사의 현재 근무 시간은 주 55시간 내외다.

동원관 식당 석식 중단에 대한 노동자의 불만 역시 거세다. 동원관 식당은 조식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이전부터 근로 시간이 주 52시간 이하였음에도, 식자재 보관 창고를 축소해 석식을 중단하면서 근로 시간이 줄었다. 생협 사무처 관계자는 노동자의 휴게 공간을 확보하는 데 식자재 보관 창고 축소와 석식 배식 중단이 최선의 선택임을 역설했다. 그는 “동원관 식당은 공간이 좁을 뿐만 아니라 중식 시간에 이용자가 많기 때문에 홀을 줄여 휴게 공간을 만들 수 없다”라며 “저녁에는 동원관 식당 이용자가 적고, 주변에 다른 식당도 많기 때문에 석식 배식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학노조 이창수 부지부장은 “많은 학생이 선호하는 생협 식당에서 석식 제공을 중단한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노사 양측은 원만한 타협을 위해 서로의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이창수 부지부장은 “최근 적자인 생협에 모든 연장 근로에 대한 수당을 지급해달라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연장 근로 수당과 보상 휴가 중에서 선택할 기회를 원한다고 요구했다.

생협 사무처 관계자 또한 노동자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원관 식당의 경우 휴게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석식 배식을 중단해야 하고 학생회관 식당도 주 52시간 근로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운영 시간을 단축한 것”이라며 임금 삭감 의도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생협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장 근로 수당 지급을 늘리려면 식대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라며 현 상황의 어려움을 전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