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 아래 작은 화단에는 만개한 개양귀비가 바람을 맞으며 살랑거린다. 어느새 여름의 문턱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 번째 학기도 벌써 끝나간다. 얼마 전에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서울대가 다음 학기에는 적극적인 대면 수업으로의 방향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내 교육·연구 기능을 점차 정상화하겠다고 한다.

코로나19 시대의 대학생들 다수가 비대면 수업 방식이나 학교 시설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가졌다. 무엇보다 대학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곳이 아니라 토론의 전장이요, 공동체를 경험하는 곳이라는 점에서 비대면 수업만으로는 불충분한 점이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학생들과 교강사들은 강의실을 대체해버린 컴퓨터 모니터를 오랫동안 바라보는 데 지쳤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번 소식은 반가운 것임에 틀림없다. 물론, 초·중·고와 달리 대학교는 전국 각지의 학생들이 모이는 공간이기에 구성원들의 안전에 대한 걱정과 우려도 없지 않다. 하지만 본부는 방역지침을 준수하면서 경계를 늦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대면 수업 확대에 있어 한 가지 바람이 있다. 본부는 구체적인 계획에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이며, 대면과 비대면 방식을 함께 활용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방법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런 만큼 대면 수업으로의 방향 전환이 단지 전통적인 수업 방식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아니었으면 좋겠다. 또한 자신에게 더 적합하고 효과적인 수업 방식을 고를 수 있도록, 교강사와 학생들에게 다양한 선택지가 주어진다면 좋겠다. 

대학의 비대면 수업은 변화의 시기가 앞당겨진 것일 뿐, 이미 역행할 수 없는 흐름이다. 이에 그것을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로 보자는 의견들도 있었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또 다른 팬데믹은 언제든 올 수 있고, 코로나19가 가속화한 사회 각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우리 삶의 방식이나 경험이 달라진 만큼 앞으로의 대학 교육 또한 달라져야 할 것이고, 그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단순히 대면 수업으로 복귀하는 것이 ‘정상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주변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비대면 수업에 아쉬움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더 늘어난 개인 시간을 알차게 활용하거나,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져서 좋았다는 학생들도 있다. 밀레니얼 세대 가운데 적지 않은 ‘자발적 아싸(아웃사이더)’들은 친목에 대한 부담 없이 비교적 느슨하게 연대하고 가볍게 소통할 수 있는 점을 장점으로 꼽기도 한다. 

특히 비대면 수업 혹은 하이브리드 방식의 수업은 이미 어느 정도 안정됐고, 교육 효과의 측면에서도 나름의 강점이 있다. 실시간 화상강의는 덜 부담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상호 소통과 토론을 더 용이하게 이끌어낼 수 있고, 학생들이 집중 가능한 때 들을 수 있는 녹화강의는 집중도와 학업 성취도 면에서 더 효과적일 때도 있다. 개념이나 지식의 습득은 온라인상에서 하고, 토론이나 피드백, 실습은 대면으로 하는 ‘플립 러닝’ 등 다양한 수업 방식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을 고수하기보다는, 비대면 수업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을 반영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좀 더 다양한 방식의 수업‘들’이 가능해진다면 좋겠다.

 

유예현 간사

삽화: 김윤영 기자 kookie1026@snu.ac.kr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