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원 인문대 교수ㆍ 영어영문학과

3ㆍ1 서울대인 비상총회’ 이후 총학생회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투쟁에 대해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대학신문』에서는 학내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기 위해 교육투쟁의 대표적인 쟁점인 ▲상대평가제 폐지, 학점취소제 도입 등 학사관리 엄정화 반대 ▲학부대학-전문대학원 체제 전면 재논의 ▲등록금 인상분 반환에 대한 서울대인의 생각을 들어 보았다.
 

'학부대학'  및 '전문대학원 ' 도입의 선결 조건
(이성원 인문대 교수ㆍ 영어영문학과)

서울대학교의 편제에 관한 논의에서 학부대학과 전문대학원의 도입문제는 쟁점 중의 쟁점이다. 이는 별개의 사안이 아니다. 우선 전문대학원에 관한 논의를 보자. 이 논의는 의학, 법학, 경영학 분야에 종사할 전문 인력의 고급화를 위해서는 학사과정을 마친 사람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동시에 이러한 판단에는 이들 단과대학이 기초학문분야와 병립되어 있음으로 해서 대학의 생명인 기초학문 분야의 교육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인식이 분명히 작용하고 있다. 그러기에 이 두 문제는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상은 대체로 미국 대학이 보여주는 장점을 취하자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복잡화와 현대학문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분과학문에 제한되지 않는 폭넓은 조감 능력이 한층 강조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대단위로 모집하여 1~2년의 기초교육 및 전공탐색의 과정을 거친 후 전공교육을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는 것이 학부대학 도입의 근본 취지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러 가지 고려사항이 뒤따른다.

우선 학부대학의 규모이다. 전공을 명시하지 않은 채 대단위로 모집한다고 하지만  현재의 인문대, 사회대, 자연대의 입학정원을 아우르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규모라 아니할 수 없다. 또 이 세 대학에 포함되지 않은 분야까지도 총괄하는 학부대학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관리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법학, 의학, 경영학 등이 압도적으로 선호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학부대학 졸업생들의 가장 상위 집단은 이들 전문대학원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경우 연구대학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기초학문 분야의 대학원과정을 위해서는 학부대학의 규모가 이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더 커져야 할 텐데, 교육의 어려움은 그만큼 가중될 것이다.

현재 학생들의 사고방식 및 행태를 볼 때 기초학문의 어떤 분야들은 외면당할 것이 너무도 분명히 예상된다. 이는 자칫 대학을 돌이킬 수 없이 훼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의 강구야말로 학부대학 도입의 선결조건이다.

학부대학이 시행되려면 입학생 선발과정이 지금보다 훨씬 치밀해져야 할 것이다. 교양교육은 물론 학과 단위로 이루어진 전공교과과정도 지금보다 훨씬 통합된 방식으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 전체를 볼 때 이는 효율성을 높이는 길이 된다. 분명한 것은 학부대학 및 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은 그 취지를 떠나 불가피하게 대학 전체의 ‘구조조정’을 수반하리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학내의 의견 수렴이 쉽지 않을뿐더러 아직 아무런 일정도 구체화된 바 없는 듯하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