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을 위한’ 총학생회라고 하지 않습니까. 본부 말단 직원인 내가 바로 ‘민중’ 아닌가요. 나를 무시하고 있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청원경찰 정학진씨가 기자에게 호소한 내용이다. 사건이 일어난 지 한 달이 넘었다. 그러나 총학과 본부 어디에서도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공식적인 사과 도 이뤄지지 않았다. 학생들의 추궁이 빗발치고 있지만 모두가 ‘침묵’할 뿐이다.

정학진씨에 대한 치료비 보상 문제도 시급하지만, 먼저 사건의 발단을 제공한 당사자들의 공개적인 사과와 반성이 선행돼야 한다. 학생들의 교육투쟁은 나름의 명분이 있었겠지만, 정학진씨에게는 ‘본부 점거 저지’가 청원경찰로서의 본분이었다. 총학은 수차례 정학진씨를 찾아갔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 만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전에 연락을 드리고 만남을 약속하는 것이 기본적인 예의로, 충분히 가능한 일 아닐까. 

본부와 총학, 사회대 학생회의 말은 모두 엇갈렸고, 책임을 떠넘기는 모습도 보였다. 사회대 학생회는 “이 사안을 총학에게 위임했다”고 말했으며, 기자에게는 “본부와 논의중”이라는 총학의 답변만  한 달 내내 돌아왔다. 또 학생과는 “등록금을 치료비로 사용하면 학생들이 반발하지 않겠느냐”며 갈팡질팡했다.

또 정학진씨는 피해자로서 가해자가 누군지 알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도서관 폭행사건과 같이 가해자의 신분이 공개되는 것은 인신공격 및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고 지양할 일이다. 그러나 피해자에게 사과하고 경찰 조사에서 당시 정황을 정확하게 진술하는 것이 가해자의 도리이다.

기자와 통화했던 정학진씨의 부인은 “남편이 서울대에서 근무하는 것을 자랑스러워했고, 최고의 엘리트라는 학생들을 존경해 왔는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정학진씨의 아들은 “아침에 멀쩡하게 나가신 아버지가 다음날 상처투성이로 들어오셨을 때의 심정을 아는갚라고 분노했다. 본부와 총학의 무책임 속에서 정학진씨와 그 가족만 고통받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