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31일 전 교육부총리, 전 서울대 총장 등 굵직한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교수협의회 심포지엄에는 100여명의 교수들이 한 목소리로 정부를 비판했다. “환갑이 다된 서울대를 유치원으로 보느냐”, “교육부를 없애야한다” 등 과격한 발언들도 나왔지만 교수들은 다양하고 논리적인 이유를 들며 정부의 최근 교육정책들을 조목조목 비판해 나갔다.

‘대학 자율성’을 두고 교수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질 때 한 교수의 발언이 기자의 귀를 솔깃하게 했다. 최영찬 교수(농경제사회학부)는 “외국에 1년 동안 나갔다 돌아와 보니 봉급이 많이 올라있더라”며 “기분은 좋았지만 학생들 등록금이 올랐을까봐 걱정이 됐다”고 말했다. 또 최 교수는 “지금 대학의 자율을 이야기하는 것도 좋은데 과연 그만큼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며 한창 고조된 토론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최근 3년간 서울대는 교수 연구 보조비가 100만원 가깝게 오르는 등 교수 처우개선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 예산은 기성회비에서 책정돼 학부모들의 허리띠를 조이고 있지만 심포지엄 참석 교수들은 ‘연구비 확대 등 재정 확충을 위한 등록금의 현실화’를 주장했다. 또 다른 교수는 국[]공립대의 사회적 역할은 잊은 채 “대학 운영에 실패하는 대학은 없어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시장 논리를 거론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대학의 자율성’, ‘대학 재정의 확충’에 대한 글들은 깔끔하게 제본된 책으로 배부됐다. 하지만 어느 교수의 말처럼 우리나라 최고 지성인들이 모인 서울대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다. 최고수준인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수학, 과학 성적과 아직 이에 미치지 못하는 서울대의 세계 대학 순위를 비교하며 “밖에서 서울대에 기대하는 바는 크다”고 말하는 열린우리당 이강래 의원의 심정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듯 하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