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의 괴리로 정상적인 운영 난항

사범대 학생회는 단학대회 소집에 필요한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9월 28일(일)에 실시할 예정이던 단과대학생대표자회의(단학대회)를 10월 6일(월)로 변경했다. 공대, 농생대, 사범대 학생회 역시 비슷한 이유로 단학대회 날짜를 변경해야 했다.

 

일부 단과대 정족수 미달로 단학대회 연기

 

단학대회뿐이 아니다. 올해에 들어서 단과대 학생회의 대내외적 활동이 작년에 비해 저조한 상태다. 인문대의 경우 지난해 선거 과정에서 빚어진 논란으로 인해 올해 3월에야 보궐 선거를 통해 현 학생회가 성립돼 사업 추진 자체가 늦어졌다. 이후 인문대 학생회가 제시한 사업 중 인문대 학생회 홈페이지 구축 및 매체 발행은 진행이 불확실하다. 인문대의 한 학생은 “단과대 학생회 이름으로 붙는 자보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 것만 봐도 학생회의 의제 설정 기능이 약화된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공대 학생회 역시 ‘공학전’ 실시 공약을 지키지 않은 상태다. 여전히 광역화 세대가 존재해 전공 진입을 앞둔 인문대, 사회대 등은 이에 대한 논의마저 식은 상태다.

 

 

지난해에는 광역화에 대한 문제제기가 활발히 이뤄져 인문계학과군 전공인원의 제한이 철폐됐으며 사회대에서는 특위가 활동하고, 사범대에서는 집단 휴학원을 제출하기도 했다. 또 인문대 등에서는 여학생 휴게실을 설립하고 생리대 자판기를 확대 설치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인문대를 비롯한 여러 단대들은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는 등 대외 사안에 대해서도 자보나 집회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공대 학생회 역시 6․15기념탑을 건립하고 공대 간이식당의 철거를 저지했다.

 

 

인문대 학생회장 김진환씨(미학․00)는 “과․반 단위의 붕괴가 사업 추진에 있어 악재였다”며 “앞으로 여학생 휴게실 문제 등 인문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2000년 ‘인문대 모집단위통합안 전면 유보를 위한 인문대 특별위원회’의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3%가 ‘학생회와 같은 학생자치단위의 역할과 활동이 축소되거나 소멸할 것’이라고 답해 현 상황을 예견한 바 있다. 지난해 광역화 논의 과정에서 특별위원회를 꾸리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인 사회대조차 “전공 진입 문제를 개인의 노력 탓으로 돌리는 풍조가 만연한 상태에서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힘들다”는 평이다.

 

“학생과 학생회 사이에 공감대 강화돼야”

 

단과대 학생회가 앞으로 벌일 활동에 대해 많은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과 공감대 강화’를 강조했다. 사범대의 한 학생은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자보 활동 및 대중적인 사업을 벌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문대의 한 학생은 “자신이 교육 공간의 주체 중 하나임을 인식하고 자율적인 활동을 벌여나갈 수 있는 통로로 학생회를 활용해야 한다”며 “학생들도 학생회의 활동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