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전쟁폭력에 반대한다 고로 파병에 반대한다

지난 10월 18일 이라크 파병 ‘결정’ 발표 이후 정부 내에서도 파병부대의 성격과 형태 문제로 논쟁이 격해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전투병이냐 비전투병이냐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이 논쟁 역시 국익을 위한 파병을 전제하고 있다.

파병 논쟁에 있어 국익이라는 주제는 이제는 지겨울 정도로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어왔다. 국가안보와 경제적 실익이라는 두 축을 지닌 ‘국익’ 발언이 노 대통령의 입에서 나온 순간 평화에 대한 염원은 안보 불안에 대한 공포와 경제 발전에 대한 기대로 바뀌어갔다. 그래서 파병에 반대하는 많은 사람들은 자의든 타의든 이라크 파병이 국가 안보와 국가 경제에 부정적임을, 즉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설명하며 맞섰다.

나는 국제정세와 경제적 영향 등에 대한 분석 없이 파병에 반대하는 입장을 말하고자 한다. 나는 모든 전쟁폭력에 반대하는 사람으로서, 전쟁과 그와 관련된 모든 행위를 반대하기 때문에 파병에 반대한다. 사람들이 전쟁에 반대하는 이유는 전쟁이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쳐부수어야 할 적을 무엇(혹은 누구)으로 내걸던 전쟁폭력의 직접적 대상은 개인으로 존재하는 인간이다. 전쟁 현장은 미국의 방송들에서 보여주었던 것처럼 화려한 불꽃놀이가 결코 아니다. 전쟁 반대는 전쟁폭력의 희생자가 된 인간과 그·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는 사람들을 보며 그런 일이 벌어나지 않았어야 할 일임을 말하는 것이다.

국익을 따지는 것보다 인간의 생명을 지키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이 그렇게 이상주의적이고 비논리적인 것인가? 어떤 정치적 결정이 가져올 외교적 경제적 영향을 무시하자는 것이 아니라 가장 우선되어야 할 가치가 무엇이어야 하는지 묻고 싶은 것이다. 결국 폭력은  폭력을 낳아 이라크에서 수많은 테러가 벌어지고 있다. 폭력이 반복되는, 악순환의 고리 속으로 들어가기 전인 지금이야말로 전쟁폭력에 가담하는 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진지하게 전사회적으로  성찰을 할 때이다.

장기정 독어독문학과·99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