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의 학력 위조사건을 필두로 한국사회에 갑작스런 학력 검증 바람이 불었다. 영어강사 이지영, 건축가 이창하, 동숭아트센터 대표 김옥랑, 명지대 교수 정덕희 등 문화·연예계 인사뿐만 아니라 종교계 인사, 그리고 강남지역 유명 학원 강사들마저 학력 검증 바람에 추풍낙엽처럼 떨어져 내렸다.

그런데 이런 학력 위조 사태에 대해 언론은 한국사회의 학벌중시 풍조를 비판하면서 학력 위조자들에 대한 동정여론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는 아무리 뛰어난 능력과 실력을 갖춘 인재라 해도 한국사회에서 소위 유명 대학 간판이 없으면 성공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들은 어쩔 수 없이 학벌을 위조할 수밖에 없었다는 논리다.
 
동정론은 가해자의 경제적 상황이나, 생존의 문제와 직결됐을 때 정상참작이 되는 문제다. 생계형 범죄가 급증하는 양극화 사회에서 딸의 분유값을 마련하기 위해 절도를 한 남자에게  누가 자신 있게 돌을 던질 수 있으랴. 하지만 이번 학력 위조 사태의 당사자들에게 던져지는 돌은 누가 막을 수 있을까.

 이번 사건의 당사자들이 어떤 위치에 선 사람들인가. 자신의 학력을 기반으로 유명인의 지위를 차지하고, 이익을 챙겨온 사람들이다. 학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았다고 해도 학력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판 죄는 정말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사에는 상도가 있다. 그들은 스스로의 능력과 이미지를 상품으로 파는 소위 사회의 ‘명사’라고 하는 사람들이다. 상품의 질이나 내용을 허위·과장 광고하는 것은 엄연히 상도에 어긋나는 일이다. 얼마 전 유산균이 표시보다 적게 함량된 요구르트에 대한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을 보았다. 이에 소비자들은 허위·과장 광고한 회사에 분노하고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 이번 사태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학력 위조를 통해 스스로를 허위·과장 광고한 유명인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며 대중이라는 소비자를 기만한 그들의 비윤리적 행위에 응당 분노해야 한다.

학력을 위조한 그들은 명백히 대중을 기만한 사기꾼들이다. 위조, 가짜들이 판 칠 때 피해를 보는 것은 소비자들이고 이런 비정상적인 시장이 지속될 때, 악화가 양화를 구축해 ‘불량품’들만이 시장에 남게 되어버릴지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 큰 우려일까. 불량품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 분명하다. 거짓이 옹호받는 사회와 허위와 과장이 팽배한 시장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정당한 실력과 노력이 합당하게 평가받기를 바란다. 

 김윤오 경영학과·06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