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보다 아름다운 거짓

누가 나에게 거짓말을, 혹은 연극을 하고 있다면 나는 어떤 기분일까? 어째서 나에게 진실을 말하지 않았냐고 몹시 화를 내겠지. 하지만 이 영화에 나오는 것 같은 거짓말이라면…?

 

「굿바이 레닌」은 착한 거짓말에 관한 이야기다. 남편이 서독으로 망명한 후, 우울증을 겪다가, 사회주의 실현을 위해 헌신한 동독 여인이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녀는 아들 알렉스의 시위 장면을 본 순간 심장마비로 코마(뇌사) 상태에 빠진다. 그리고 시간이 얼마나 지났을까… 이미 독일이 통일되어버린 후, 가족들이 그녀의 혼수 상태를 일상처럼 자연스럽게 여길 무렵, 그녀는 기적적으로 깨어난다. “내가 얼마 동안 잠들어 있었던 거냐?”

 

이 때부터 엄마를 몹시 사랑했던 아들의 기막힌 거짓말들이 시작된다. 아들 알렉스는 엄마를 위해 동독 시절에만 팔던 콩과 피클을 준비하고, 동독용 뉴스까지 직접 제작한다. 알렉스는 엄마에게 유일한 꿈이던 사회주의 이념을 산산조각 내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거짓말이 점점 불어나자 그 연극을 감당하기 힘들어짐에도, 아들의 눈은 반짝거리기만 한다. 알렉스가, 동독이 서독을 흡수 통일한다는 뉴스를 만드는 과정은 사실, 허구 속에서라도 유토피아를 구축하려는 알렉스 자신의 간절한 바람이기도 하다. “진실이란, 워낙 모호해서 조금의 조작만 거치면 이렇게 전혀 다른 진실이 되어 버려”하고 중얼거리는 그의 말. 어쩌면 그럴지도 모르겠다. 서독 자본주의의 화려함과 어두운 이면을 갑작스레 접한 동독인의 삶 속에서, 냉정한 사실보다 더 절실했던 것은 상상 속에서라도 즐길 수 있는 허구의 세계일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알렉스의 여자 친구는 그렇게 거짓말을 하면서 가책을 느끼지도 못하냐며 알렉스를 비난하지만 그는 어머니가 편안히 돌아가실 때까지 결국 거짓말로 일관하고, 그의 뜻대로 그녀는 편안히 눈을 감는다. 독일이 통일되어 간신히 만날 수 있었던 알렉스의 아버지도 알렉스가 꾸민 연극을 받아들이고, 침대에 누운 그녀의 손을 꼭 잡아준다.

 

하지만 동ㆍ서독의 통일이란 무거운 주제를 담고 있음에도 영화는 계속 웃음을 자아낸다. 코카콜라 광고를 보고 놀라는 어머니에게 “코카콜라가 사실은 동독 제품이었답니다”라고 둘러대는 알렉스, 그리고 독일의 통일을 모르는 엄마가 벌이는 엉뚱한 일들을 보면 자꾸 웃음이 나온다.

 

그렇지만 그 웃음 속에서 슬픔이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사회주의라는 정치 이념에 대한 논쟁은 접어 두더라도 어머니가 올려다보는 하늘 위로 동독의 옛 동상을 철거하는 헬리콥터가 사라져 가는 장면을 보고 있으면 인간이 꿈꾸고 실험한 하나의 체제가 붕괴되었다는 생각에 마음 한 구석이 아릿해져 온다. 그런데 포커스가 맞추어지는 것은 ‘역사’라는 거대하고 추상적인 주제가 아니라, 달라진 세상에 충격 받을 어머니를 위해 진실을 알려주지 않는 아들의 모습이다. 이 영화가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아마 그래서일 것이다. 이 영화에는 통일 직후 독일인이 공유했던 고민이 가족의 모습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그들이 느꼈던 충격과, 동ㆍ서독이 서로 융화되지 못하는 답답함은 영화 속에서 어머니를 위해 거짓말하는 아들과 해후를 어색해하는 아버지와 아들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난 거짓말 한 것을 후회하지 않아" 알렉스의 마지막 대사를 들었을 때 내 눈에서 흘러내렸던 것은 눈물일까? 조조 영화를 온 관객들은 스크린 바깥에 있는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서둘러 자리를 뜨기 시작했지만 나는 왠지 엔딩 크레딧이 다 올라가도록 쉽게 자리에서 일어날 수 없었다.

 

구민정 인문대기초과정ㆍ02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