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구 교수(사회대ㆍ경제학부)

영어 광풍이 부는 우리 사회
영어는 목적 아닌 수단
맹목적 영어 숭배서 벗어나
전공지식·우리말능력 길러야

 

요즈음 우리 사회에는 오직 영어만 잘하면 능력 있는 사람으로 인정받는 묘한 분위기가 생겨났다. 머리 좋은 사람이 영어도 잘하겠지만, 영어 잘한다고 모두 머리가 좋은 사람은 아닐 텐데도 말이다.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 오래 살다 오면 저절로 머리가 좋아지기라도 한다는 말인가? 한 마디로 우스꽝스럽기 짝이 없는 일이다.      

우리 사회의 영어 광풍이 해외 언론의 뉴스거리가 된 지 이미 오래다. 미국 경제학 책에는 영어 발음 좋게 한다고 혀 수술까지 받도록 하는 한국 부모의 예도 등장했다. 얼마나 이상한 일로 비쳤기에 경제학 책의 예로 썼는지 생각해보면 입맛이 쓰다. 그런 턱없는 짓을 서슴지 않는 우리가 이상할 뿐 아니라 우습기까지 했을 것이 분명하다.

“왜 우리가 영어를 잘해야 하는가?”라는 본질적 의문에 대해 설득력 있는 답을 들어본 적이 없다. 세계화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일이라는 막연한 답만 되풀이될 뿐이다. 영어의 중요성이 점차 커져가는 분위기가 되었다는 점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영어 구사 능력의 향상은 세계화시대 생존전략의 한 부분에 불과할 뿐 그 본질은 아니다.

영어 구사 능력이 제일 중요한 부분이 어디냐고 물으면 거의 모두가 ‘경제적 교류’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영어만 잘한다고 경제적 교류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는 세일즈맨이라 해도 형편없는 상품을 비싼 가격에 팔아넘길 수는 없다. 성공적인 국제교역의 필수조건은 좋은 상품을 싼 가격에 만들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이다.

‘학문적 교류’라는 측면에서도 영어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틀린 말은 아니나, 핵심적인 것은 영어가 아니라 전공분야의 실력이다. 해외유학을 해 본 사람은 잘 알겠지만, 전공지식이 부족하면 강의를 전혀 이해할 수 없다. 서투른 영어보다 부족한 전공지식이 더 큰 문제인 것이다.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대학의 영어 강의에 대해 냉정한 반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런데도 영어가 제일인 양 떠들어대는 것을 보면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사회의 영어에 대한 맹목적인 숭배는 거의 사대주의에 가까울 정도다. 이 사대주의의 오염이 가장 심한 계층이 바로 지식층이라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그들이야 말로 줏대를 갖고 우리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할 사람들이 아닌가.

나는 우리말을 제대로,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아무리 영어를 많이 쓴다 해도 생각하는 과정마저 영어식으로 바뀌지는 않는다. 우리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은 논리적인 사고 그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는 우리말 구사 능력이 훨씬 더 중요한 자질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언젠가는 이 맹목적인 영어 숭배의 허망함을 깨닫고 올바른 길로 돌아가리라고 믿는다. 그러나 그 때가 오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그런 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기에는 지금 불고 있는 영어 광풍의 세력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다. 영어는 단지 수단에 불과할 뿐 목적이 될 수 없다고 외쳐도 그 바람소리에 맥없이 파묻혀버릴 따름이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