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복지를 중요시한다는 총학이 정작 중요한 복지사안들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일관되게 침묵하고 있다. 지난 총선에서 모 교수의 출마로 학생의 학습권이 침해됐을 때 총학은 ‘추이를 지켜보며 학생들의 의견을 파악하겠다’는 의견 외에는 그 어떠한 공식적인 입장도 내비치지 않았다. 이번 ‘미국산 쇠고기 사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중고등학생까지 촛불시위에 나선 이 시점에서 총학이 학생총투표를 실시하자는 제안을 하면서 내세운 논리는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다. ‘대의제로 뽑힌 만큼 의견을 모두 수용하는 것이 진정한 대의민주주의’이며, 특히 정치사회적 사안에 대해서는 ‘학생 한 명이라도 반대하는 의견은 총학의 공식입장이 아니다’라는 것이 총학의 논리다.

대의민주주의의 기본조차도 모르는 총학이 놀라울 뿐이다. 직접민주주의를 완벽하게 실현할 수 없는 이상, 매사에 모든 구성원의 만장일치를 구할 수는 없다. 긴급하게 중요한 복지사안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서울대생들이라면 적어도 거부할 수는 없을 원리들과 합당한 정보들에 비추어 총학이 결정하고 책임져야 할 때가 있다. 바로 지난 번 ‘폴리페서 사안’과 이번의 ‘쇠고기 사안’이 이러한 민주적 책임성이 요구되는 경우다. 학생들의 학습권이나 생명건강권과 관련된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 입장을 표명하는 정도의 최소한의 민주적 책임도 지지 않으려고 하는 총학은 ‘모두의 의견’이라는 변명 뒤에 숨어서 쟁점이 흐지부지될 때를 기다리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중요한 복지사안들에 대해서 학내 구성원들의 등 뒤로 피해서 어물쩍거리지 말고 적극적으로 의견형성을 주도하는 총학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