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균형적 발전 깨뜨릴 수 있다”VS“학과운영을 위해 모든 학생들의 전과를 막는 것은 부당하다“

사범대 02학번인 이모씨는 이번 학기에도 휴학을 결심했다. 학과 공부가 적성에 맞지 않아 전과를 고려했으나 제도적으로 막혀있어 학업에 흥미를 잃었기 때문이다. 이씨는 “전과 대신 복수전공도 고려했으나 복수전공은 자기만족일 뿐 사회에서는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판단해 포기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사범대에서는 교직 이외 다른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으면서도 전과의 기회를 얻지 못하는 학생이 적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본부가 사범대에 전과를 허용할 것을 요청했으나 사범대는 이를 거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부는 지난해 말 사범대에 전과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학칙을 개정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사범대는 지난 2월 17일 학과장회의에서 전과제도 개정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국 전과를 불허하겠다는 기존 방침을 고수하기로 결정했다.

사범대가 전과를 쉽게 허용하지 못하는 것은 학생들의 전출을 허용할 경우 학과 운영이 어려워 질 것을 우려해서다. 사범대 학장 윤정일 교수(교육학과)는 “사범대는 교원 양성을 위한 목적 대학으로 의대나 약대처럼 자격증이 발급된다”며 “사범대에 입학한 것은 교사가 되겠다는 약속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전과를 허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사범대 학생들의 전출을 허용할 경우 학과 운영에 지장을 줘 학문의 균형적인 발전을 깨뜨릴 수 있다”며 “국립대가 학생 수급의 논리만으로 학과 운영을 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또 윤 교수는 “교직이수를 통해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학생이 많아 중등교사가 넘쳐나는 상황이므로 전과제도를 개정하기 위해서는 타 단과대의 교직 과정을 축소하거나 폐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이 같은 사범대의 주장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씨는 “학생들에게 일관된 학문만을 강요하는 것은 억지”라며 “안정적인 학과 운영을 위해 모든 학생들의 전과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사범대를 다니다가 재수를 통해 사회대에 다시 입학한 김모씨는 “사범대의 교육과정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해 재수를 결심했다”며 “전과가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재수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