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작 취업 준비생 반응은 냉담
정부는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야

청년실업이 350만명에 치닫고 있는 사상 초유의 취업대란으로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이에 지난 12일(목)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가 한시적으로 취업을 하지 못한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미취업 대졸자 지원 프로그램(Stay-in-school Program)’을 실시하겠다고 나섰다. 이 사업은 미취업 대졸생을 조교 및 연구원으로 채용하는 ‘미취업 대졸생 조교 등 학내 채용 지원’과 대학별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개설해 운영할 수 있도록 재정을 지원 하는 ‘미취업 대졸생 대학내 교육훈련 지원’을 골자로 한다. 교과부 정봉섭 사무관은 “취업에 대비해 전문 이론을 교육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향상시켜 미취업 대졸자들의 직무능력을 신장시킬 기회를 제공하고 개개인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사업의 목적”이라고 밝혔다.

교과부의 이번 ‘미취업 대졸자 지원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학사후과정을 최초로 시행 중인 숙명여대를 모델로 삼았다. 숙명여대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기업 또는 현장의 수요에 맞는 기술을 교육하는 전공심화과정, 맞춤형 진로준비과정 등의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한다. 숙명여대 학사관리과 김일현 학사지원팀장은 “현재 462명의 학생들이 과정을 이수하고 있다”며 “미취업 대졸자들의 역량을 키워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작 취업 준비생들은 정부의 ‘미취업 대졸자 지원 프로그램’이 그리 달갑지 않다는 반응이다. 김지영씨(숙명여대 경영학과․04)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업을 하고 학교에서 6개월짜리 인턴을 하거나 재수강이 불가능한 학사후과정을 수강하는 것보다 졸업을 미루고 재수강을 하거나 독학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게 낫다는 것이 중론”이라며 “학사후과정은 실질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현진씨(연세대 법학부․06)도 “학사후과정이 끝나도 일자리가 없으면 취업을 못하는 건 마찬가지”라며 “형식적으로 실업률을 낮추려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한편 사회 각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진보신당 교육담당 송경원 정책연구원은 “정부에서 지원하지 않아도 이미 많은 학생들 스스로 학교에 남아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며 “취업을 돕는 것은 대학에 맡겨두고 정부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게 급선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재정지원을 약속했다지만 재정 사정이 절대적으로 열악한 지방 사립대의 경우도 이 사업을 취지대로 잘 시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정부의 대책이 비효율적이라 예산 낭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준기 교수(행정대학원)도 “복지적 성격을 가진 단기 인턴제는 사회안정을 목적으로 봤을 때 필요하지만 일회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