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신청 대란에 대한 본부의 대처 관련 기사를 읽고 많이 고민했다. 나도 수강신청자로서 홀수학번 피해자들에게 구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초안지는 원래 교수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초안지 구제는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피해자들을 모두 구제할 경우 초안지를 내려는 학생들의 피해가 발생한다는 역차별 주장자들의 마음도 충분히 이해가 됐다. 그렇다면 본부는 어떤 대처를 해야 했을까? 분명한 것은 다음날에 짝수학번 수강신청 대란을 일으켜서는 안 됐다는 것이다.

이번 수강신청 대란의 피해보상에서 ‘피해자’는 누구이며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살펴보면 피해자는 홀수학번 학생 모두이다. 첫날 수강신청에 실패했든 성공했든, 다음 수강신청에 성공했든 실패했든 상관없이 말이다. 홀수학번 학생은 누구든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수고와 수강신청 과정에서의 스트레스를 한 번 더 겪어야 했기 때문이다. 현 제도상 적지 않은 수고를 들여야 하는 수강신청을 두번이나 겪은 것은 상당한 피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들에게 주어진 보상은 무엇인가. 역차별 논란은 바로 피해에 대한 보상이 합당한지, 보상이 사회에 다른 피해를 일으키지는 않는지에 대한 질문과도 같다. 본부가 피해자들을 모두 구제해 줄 경우 초안지를 신청하려던 학생들이 불합리한 피해를 받게 돼 역차별 논란이 제기됐다고 생각한다. 만약 본부가 구제를 요청한 학생들을 모두 구제해 주려고 한다면 이들의 피해가 앞에서 말한 스트레스 이상의 것인지의 판단이 필요하다. 더불어 이번 대처로 인해 발생하는 다른 피해 역시 고려해야 한다.

해외여행이나 군입대 등 피치 못할 사정으로 수강신청을 아예 할 수 없게 된 경우 그 피해는 수강신청을 한번 더 하는 스트레스 이상으로 심각하다. 그러나 ‘운’으로 수강신청의 성공여부가 갈리는 현 수강신청 시스템에서 이번 대처는 수강신청 당일의 ‘운’까지 보상해주는 건 아닌가 싶다. 본부는 이 사태의 빠른 수습이 필요했기에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할 시간 없이 ‘홀수학번 모두 구제’라는 관대한 대처를 했을 것이다. 하지만 관대한 대처는 초안지를 내려던 학생들을 고려하지 않은 대처가 됐다. 본부는 자신의 잘못을 무마하기 위해 또 다른 피해자들을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반문해봐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번 대란을 ‘실수’로 여기고 대충 넘어갈 것이 아니라 ‘운’으로 신청여부가 갈리는 수강신청 시스템의 개선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우지영
간호학과·07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