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2호 11월 16일자 2면
“사라지는 후생관, 편의시설은 어디로?” 기사를 읽고

최근 학생들 사이 ‘현 후생관 자리의 건물이 헐리고 새 건물이 건립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회자돼왔다. 새로운 시설에 대한 기대와 공사기간 중 기존에 후생관이 담당했던 각종 편의를 대체할 시설을 찾아야 한다는 우려가 대체적인 반응이었다.

그런데 그 자리에 건립되는 것이 현재 후생관에 있는 식당과 각종 편의시설이 아니라 아시아연구소라는 내용의 기사를 접하니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

물론 후생관에 대한 불만이 존재했던 것은 사실이다. 보다 깔끔한 시설에 대한 요청에서부터 2층에 관리되지 않은 채 방치돼있던 가전제품 매장 등을 대신해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달라는 요구가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은 실사용자인 학생들이 원하는 것은 기존 시설의 개선이지 불필요함에 따른 철거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나 기획처는 내부 시설 이전에 관한 방안은 추후에 논의하겠다는 무성의한 대답만을 반복할 뿐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학생들의 의견과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동시에 개선의 의지조차 없는 본부의 현실을 반영한다.

이 사안의 심각성은 학생 공간이 갖는 역할과 중요성이 존중받지 못하고 있는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후생관은 단순한 물리적인 건물 혹은 편의시설이 자리한 곳 이상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져왔다. 후생관은 많은 학생들의 소소한 이야기에서부터 진로에 대한 고민, 자치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모여드는 공간이다. 그러나 기획처의 사업 기획 과정에서 이러한 공간에 대한 존폐 여부는 너무나 쉽게 결정돼 버리고 말았다.

사업을 기획할 때는 기존 시설의 필요와 앞으로의 필요를 고려해 새로운 시설 배정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하는데 후생관의 경우에는 전후가 뒤바뀐 것이다. 이는 기존 시설이 갖는 공간의 역할보다는 아시아연구소가 갖는 의미에 대한 가치 판단이 우선시돼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학교 행정의 가치판단과 이에 따른 학생 자치 공간의 일방적 폐쇄는 학생들과 신뢰를 쌓는 데 있어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이미 제2전공 의무화와 서울대 법인화를 비롯한 여러 주요한 안건의 결정에서 학생이 배제돼 온 것에 대한 비판이 팽배한 상황에서 또다시 학생들이 주체로서 갖는 권리가 무시될 경우 학생들의 실망은 돌이킬 수 없는 수준에 이르게 될 것이다.

기존 후생관 내 편의시설을 이전할 대책 없이 건물이 헐렸을 때 예상되는 많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과 시설 이전의 대책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노하늘
사회복지학과·07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