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3호 11월 23일자 1면
“계속되는 세종시 논란, 구성원 혼란 가중” 기사를 읽고

세종시 논란으로 정치권에서 여야가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정운찬 국무총리의 ‘서울대 세종시 수정안’ 발언 이후 서울대가 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이다. 각종 언론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듯 세종시에 대한 기사를 정신없이 쏟아내기에 바쁘다. 이에 서울대 구성원 역시 정치권과 언론계 못지않게 이 사안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때문에 세종시 관련 보도가 나올 때마다 학내 인터넷 커뮤니티 ‘스누라이프’는 서울대 이전과 관련된 논의로 들썩이고 있다. 또 과방이나 휴게실에도 서울대 세종시 이전을 주제로 대화하는 학생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를 귀 기울여 보면 구성원들 사이에서도 회자되는 내용이 시시각각 달라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언론이 하루가 다르게 기사의 내용을 뒤집는 데다가 사실을 과장해 보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언론은 서울대가 ‘세종시 대책위원회’를 구성한 것을 두고 “제2캠퍼스 조성에 대한 서울대의 논의가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내용을 1면에 보도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애꿎은 서울대 구성원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 학생이 할 수 있는 일은 단지 어처구니없는 기사를 읽으며 당혹스러워 하는 것뿐이다. 학생은 정치권의 논리 탓에 학교의 미래가 결정되는 것에 어떠한 조치도 취할 수 없다. 이들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통로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 총학생회(총학) 선거가 다시 치러진다는 소식이 들린다. 이렇게 총학 구성이 난항을 겪어 늦어진다면 앞으로 학생들은 입장을 개진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번 세종시 문제 외에도 시급한 현안인 법인화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 이 때문에 학생의 의견 반영 통로가 부재한 상황에서 학생은 학교의 주인이기는커녕 정치권과 본부가 학교운영방침을 일방적으로 정하는 것을 수수방관할 수밖에 없는 수동적인 주체가 될 뿐이다.

학생들은 학교가 정치권의 논리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학교의 미래가 달린 일에 학생이 배제되는 일은 있어서는 안된다. 학생은 엄연히 학교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입장을 개진할 권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루빨리 이 문제에 대해 학생들과 본부가 소통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이를 통해 세종시 논란 및 법인화 등의 사안이나 학교의 운영방침에 대해 학생들의 권리를 내세울 수 있을 것이다.
 
안세준
식품·동물생명공학부·08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