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부터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전면적으로 시행된다. 일반교사는 물론 교장과 교감을 비롯한 보건교사, 영양사, 사서교사 등도 평가 대상이다. 학생과 학부모는 각 학교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일 년에 한 번 이상 평가에 참여한다.

교원평가제는 2004년부터 꾸준히 논의돼 온 문제다. 지금도 교원평가제를 둘러싼 논란이 여전하지만 교원평가제의 전면적 시행을 더 미룰 수는 없다. 현대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각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평가 시스템이 도입됐으며 그것은 필수적으로 보인다. 교육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점과 평가가 교육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해보면 교직 사회도 더는 평가에서 예외일 수 없다.

하지만 교원평가제가 본래의 취지에 맞게 정착되려면 몇 가지 전제돼야 할 점이 있다. 먼저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보장돼야 한다. 이를 위해 교원평가제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할 때 외부 전문가가 50% 이상 참여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 규정이 실질적으로 지켜져야 한다. 평가 문항도 모두가 동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구성돼야 한다.

다음으로 요구되는 것은 학생과 학부모의 진지한 평가 자세다. 평가자들은 평가 대상의 인기에 구애받지 않고 냉철한 판단에 근거해 평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행돼야 할 것은 학교 측의 노력이다. 필자는 지난 학기 서울사대부설여자중학교로 참관 실습을 나갔었다. 그 학교는 2007년부터 3년간 교원평가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그 학교는 평가 시 평가자를 위해 자세한 안내 책자를 배부하고 학교 홈페이지에도 평가에 관한 여러 정보를 싣는 등 학생과 학부모를 무척 배려하고 있었다. 또 학생들이 성실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이틀에 걸쳐 평가를 진행했다. 이렇게 학교는 평가의 이유와 목적에 대해 평가자들이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원평가제가 단순히 평가에만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학교 안팎에서 교원평가제 결과를 반영하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교사끼리 서로의 수업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 등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후속적인 노력이 계속돼야만 교원평가제의 궁극적인 목적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 우려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조급증이다. 교원평가제의 성공 여부는 단기간에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교원평가제가 우리의 교육 현실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때까지 믿고 기다리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 교원평가제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 제도를 시행하는 것을 계기로 교사의 전반적인 수준이 향상되고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춘 교사들이 우대받는 풍토가 정착됐으면 좋겠다. 나아가 우리나라 교육의 질이 높아지고 공교육이 바로 서기를 기대해 본다.

선동협
불어교육과·08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