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함 침몰사고 관련 군사정보 공개 찬성론]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한 지 벌써 일주일이 지났다. 46명의 군 장병의 생존 가능 시간인 69시간을 이미 훌쩍 넘겼다. 하지만 여전히 침몰 원인도, 승조원들의 생존 여부도 알 수 없다. 실종자 대부분이 갇힌 것으로 추정되는 함미의 위치도 사건 발생 이틀만인 28일, 그것도 어선의 신고를 받고 찾아냈다. 발견된 함미의 위치는 침몰지점에서 불과 180m 떨어진 곳이었고 이를 발견한 시간 또한 승조원들의 생존 가능 시간인 69시간에 임박한 시간이었다. 구조에 필요한 첨단 장비의 동원도 지연되면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비아냥거림을 들어야 했다.

이 때문에 군의 초기 늑장 대응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지만 군 당국은 여전히 안보상의 이유로 정확한 정보 공개를 꺼려 국민의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지난 26일 사건이 발생한 후 군 당국은 네 차례나 침몰 시간을 번복했다. 승조원들과 가족들 간의 연락이 두절된 시점이 군 당국이 발표한 침몰 시간보다 이르다는 지적이 제기된 후 번복된 것이라는 점에서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의혹을 떨칠 수가 없다. 주된 쟁점인 침몰 원인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됐을 뿐 군에서는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물론 정확한 원인은 함미 인양 후 좀 더 면밀한 조사가 진행돼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고 원인을 밝히는 데 크게 일조할 교신 기록에 대해서도 당국은 1일 발표된 국방부 공식입장에서 나타났듯 여전히 군사기밀을 이유로 공개를 꺼리는 등 소극적인 대응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삶의 날개를 미처 펴보지도 못한 채 실종된 46명의 장병과 그 가족들, 그리고 이들을 바라보는 국민에게는 지금 우리가 처한 이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할 권리가 있다. 군 당국의 미적지근한 대응은 오히려 언론에서 온갖 추측들이 우후죽순으로 제기되는 사태를 야기했고 이러한 무책임한 추측들은 국민의 불안감을 더욱 고조시키며 논란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또 ‘초기 대응이 잘 됐다’는 정부의 발언이 국민의 반감을 사며 사회적인 혼란을 부추기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군 당국은 장병의 가족들을 비롯한 국민에게 천안함 침몰 원인과 현재 구조 진행 상황에 대해 소상히 알려주고 당국의 입장을 명백히 표명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노력하고 모두의 뜻을 하나로 모아 구조 작업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심소현
사회교육계열·10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