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물가가 상승하면서 경제적 고통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은 날로 늘어만 가고 있다. 그러나 ‘대학가’에 주목하지 않는 정부의 미적지근한 대처로 대학생들이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서기도 한다.

지난 2006년에는 신림동 독서실 업주들이 오전 1시까지인 운영시간을 일방적으로 30분씩 단축하기로 담합한 사실을 고시생들이 직접 밝혀낸 바 있다. 학생들의 신고로 조사에 착수한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사업주들이 실제로 정기모임에서 운영시간 변경을 합의했던 것을 발견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담합 행위를 적발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또 작년 10월 신림동 3개 고시학원들의 수강료 인상 담합이 적발된 것도 학생들의 신고로 가능한 일이었다. 이후 일부 고시생들은 인터넷에 피해자모임을 만들고 소비자원에 피해구제신청을 해 수강료를 환불받기도 했다. 당시 피해구제 운동을 주도한 진보신당 관악구 당원협의회 이기중 사무국장은 “현수막을 내걸고 전단지도 돌려 호응을 많이 얻었지만 생각보다 실제 피해구제신청 접수자는 적었다”며 “고시생이라 바쁘다 보니 소비자로서의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스누라이프, 고파스, 성대사랑, 한양라이프 등 각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대학생들이 학교 주변에서 소비자로서 경험한 정보를 주고받는 공유의 장이 펼쳐진다. 이러한 창구를 통해 정보가 부족한 대학생 소비자들은 불량 원룸·하숙, 불친절한 식당 등에 대한 정보를 얻어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서로의 경험 공유를 통해 대학가 주변의 담합 의혹을 공론화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각 대학 온라인 커뮤니티가 더욱 활성화돼 대학생 소비자들의 주권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양라이프’ 운영자 김지윤씨(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06)는 “한양라이프를 통해 불량 하숙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혜택을 얻은 학생들이 많다”며 “커뮤니티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가 물가 해결을 위해서는 대학생 스스로가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인식하고 소비자 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해야한다. 소비자가 가격을 감시하고 합리적인 이유 없이 급변하는 가격 품목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길이다. 녹색소비자단체연대 소비자센터 강태욱 팀장은 “정부의 물가 관리 대책만으로는 판매자 측이 소비자를 기만하고 가격을 마음대로 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소비자로서 직접 가격을 비교·분석하고 부당한 사안은 공정위에 신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