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협의회 회장 후보 인터뷰] 이정재 교수(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이정재 교수(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는 “법인화 이후 소홀히 여겨온 교수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출마소감을 밝혔다.


◇교수협의회(교수협) 회장 출마를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법인화 이전의 서울대는 직선제로 선출된 총장과 학장회의를 중심으로 교수사회의 여론을 수렴해 의사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법인화 이후 이사회가 학내 최고 의결기구가 되면서 교수들의 의견을 반영할 기구가 사라졌다. 물론 이사회에도 전임교수가 참석하지만 교수들이 뽑은 대표는 아니다. 지금까지 교수들의 의견이 참작돼온 데 비해 법인화 이후 교수들의 의견이 거의 배제된 것이다. 더구나 다음 총장은 간선제로 선출되기 때문에 우려가 더욱 크다. 이런 구조에서 앞으로 교수협이 교수사회의 의견을 종합하고 전달하는 데 앞장서기 위해 후보로 출마하게 됐다.


◇법인화 이후 발생한 문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대학 법인화는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며 법인화를 통해 학교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외부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등 긍정적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때문에 무조건 법인화법을 폐기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법인화 이후 대학조직의 구성과 경영이 총장을 포함한 몇개 기구로 집중돼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없게 됐다. 아울러 지원금 때문에 학교가 외부권력의 영향에 더욱 취약해졌다. 법인화가 이대로 지속된다면 대학재정의 궁핍과 외부 경영 간섭에 따른 교육여건 및 교직원 처우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져가고 있다. 더구나 이런 학내 문제에 대해 학교 내부에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창구가 없다는 것은 큰 문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총장 및 집행부를 간선으로 임명하는 외부권력을 제재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 방안으로는 교수청원제도와 소환제도를 생각하고 있다.


◇교수청원 및 소환제도는 어떤 제도인가=교수청원제도는 교수들이 의견을 모아 이사회에 청원할 경우 그 의견을 적극 심의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다. 교수소환제는 간선으로 임명된 집행부가 어떤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그 책임을 물어 최대 해임요청까지 할 수 있는 제도다. 이 제도들은 간선으로 임명된 집행부를 감시하는 역할도 하지만 집행부가 외부의견을 거절할 수 있는 명분도 만들어 줄 수 있어 ‘총장다운 총장’, ‘집행부다운 집행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또 일을 집행하는 집행부에 신속하게 학내여론을 전달하고 집행부의 경영책임을 엄정하게 묻는 것도 가능하다.


◇공약 중 교수 옴부즈맨제도를 확립한다는 것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인가=서울대 교수는 수요는 굉장히 크고 공급은 적은 직업이기 때문에 다소 불평등한 계약을 맺을 때도 있다. 그렇지만 교수 개개인이나 학과 차원 등에서 발생하는 고충을 처리할 수 있는 제도가 없다. 이러한 고충이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교수 옴부즈맨 제도다. 학내 안건들을 의결하고 심의하는 기구인 이사회와 단과대 교수회의에 옴부즈맨을 둔다면 교수들의 여러 고충 처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교수의 정년 유예 등을 통해 교수들이 전문인력으로서 사회에 보다 많이 기여할 기회를 주자는 공약도 있는데=현재 서울대에는 명예교수 제도가 있지만 단지 직위만 부여받을 뿐 교수로서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오랫동안 교수직을 지낸 명예교수들은 그 분야에 있어 전문가이기 때문에 교수직에서 은퇴한 후 사회적 활동을 하지 않는 것은 사회적으로나 학교 원에서 큰 손실이다. 이런 분들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수 있게 하거나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강연을 하실 수 있도록 한다면 저출산 고령사회에 부족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동시에 대학의 부족한 재원을 확충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서울대 교수들이 서울대의 명성에 걸맞게 대우해달라는 요구를 하겠다고 했는데=먹고 살기 힘들 정도로 서울대 교수들의 처우가 어렵다는 것도, 무조건 임금을 올려달라는 것도 아니다. 임금보다는 다소 미흡하다고 느껴지는 의료복지, 자녀교육 문제 등에 대한 복지 처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비해 별도의 복지기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수협에 집행권이 없어 공약 시행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다=앞의 세개 공약은 법 혹은 정관, 학칙을 개정하면 실현 가능하다. 이런 부분은 학내 여론을 모아 본부에 전달한다면 충분히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세상을 이루고 있는 것은 건물이나 도로 같은 것이 아닌 ‘사람’이다. ‘사람’이 뭉쳐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서로 의견을 모아 타협하면서 더 나은 서울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합의를 이뤄갈 수 있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