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1일 금요일 본부와 학생사회의 사전합의를 바탕으로 출범한 ‘시흥캠퍼스 문제해결과 신뢰회복을 위한 협의회’가 한 달여 간 진행됐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협의회에서는 기존에 논란이 됐던 기숙형 대학(RC) 의무 시행, 필수 교양 과목의 이전 실시, 부동산 투기와 관련된 의혹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지만 본부와 학생사회는 단일합의문 채택에 실패했다. 본부는 시흥캠퍼스 설치에 대한 동의를 전제로 학생참여권 확대를 제안했지만 실시협약을 철회해야 한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학부생 위원들이 이를 거부하면서 학생참여권 논의는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협의회 종료 후 본부는 9월부터 시흥캠퍼스 기반시설 조성공사에 착수하겠다고 발표했다.

단일 합의문 채택을 위해 만들어졌던 협의회가 성과없이 종결됐지만 이대로 본부와 학생사회의 대화가 단절된다면 이는 더 큰 갈등을 불러올 것이다. 소통 부족은 228일 간의 본부점거와 이후 이어진 학내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본부와 학생 사회가 각각 시흥캠퍼스 실시 협약 철회를 둘러싸고 아직까지 극명한 대립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러한 갈등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시흥캠퍼스를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 창구를 조속히 다시 마련해야 한다. 본부가 시흥캠퍼스에 관한 전반적 계획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만큼 학생사회와의 대화를 이어가면서 구체적인 청사진을 함께 공유해야 할 것이다.

시흥캠퍼스 사안은 학내 거버넌스 참여 문제와 본부 점거 학생 징계 등 중요 현안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학생 징계를 둘러싸고 징계 대상자와 학생사회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공동대책회의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 학외 단체들 역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시흥캠퍼스를 둘러싼 대화가 단절될 경우 징계 사안의 해결 역시 힘들어질 것이다. 학생들이 징계 과정에서의 내용적·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며 가처분 소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달 진행된 협의회에서 본부 측에서 제안한 학생 행정 참여 확대안도 논의되지 못한 만큼 더욱 대화와 소통의 자세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시흥캠퍼스를 둘러싼 논란은 협의회 종료 후에도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불신의 기간이 길었으므로 어쩌면 반드시 거쳐야 할 갈등의 시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협의회에서 공동 합의문 채택에 실패했다고 해서 다시금 대화와 소통이 단절된다면 지금까지 본부와 학생사회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갈 것이다. 협의회가 종료된 현재, 본부는 시흥캠퍼스 기반 시설 공사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으며 학생들은 다시 한 번 총의를 모을 때까지 실시협약 철회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금의 간극이 좁혀지기 위해선 본부와 학생사회 사이의 적극적인 대화와 관련 사안에 대한 조속한 합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