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을 자주 쓴다. 본래는 사물이나 사건은 독립되어 있지 않고 수많은 관계의 그물 속에 있다는 불교의 심오한 가르침을 담고 있는 말인데, ‘작업자’들에 의해 수작을 거는 말로 둔갑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옷깃’이란 흔히 옷자락이나 소매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목을 감싸고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다. 스치기 무척 어려운 부분인 셈이다. 그래서 어떤 이는 ‘옷깃만 스쳐도’라는 표현을 얼굴이 거의 맞닿았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황, 즉 ‘키스’를 에둘러 말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밥 먹듯 입을 맞추는 서양인들과는 달리, 동양인들에게 키스는 대단한 인연의 징표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은, 키스는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동양적 성 윤리를 담고 있는 표현이 된다.

얼마 전 어느 대학 게시판에는 도서관에서 키스하는 연인들을 질타하는 글이 올라왔다. 키스하는 것까지는 참을 수 있는데, 소리 나게 키스하는 건 참기 힘들다는 분노의 목소리였다.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키스를 소리에 따라 구분하면서 “입맛을 다시는, 쉿 소리를 내는, 찰싹 또는 꽝 부딪치는 그리고 굉음을 내는 키스. 어떤 키스는 공허하게, 어떤 키스는 낭랑하게 울린다. 또 어떤 키스는 면직물을 찢을 때 나는 소음을 낸다”라고 말한 바 있다. 고대 인도의 성 지침서 『카마수트라』에서 키스는 ‘혀의 전투’로 표현된다. 그 도서관 연인들도 한바탕 전투를 치르고 있었을 테니, 아마도 키에로케고르도 들은 적이 없는 엄청난 소음이 났을 것이다. 때로 눈살을 찌푸리게도 하지만, “연인들은 키스와 시원한 물만 있으면 살 수 있다”는 프랑스 속담처럼 키스 없는 연애는 상상하기 어렵다. 생물학적으로 키스를 통해 주고받는 것은 피지와 타액일 뿐이라지만, 연인들은 키스를 통해 서로의 감정을 나누며 둘만의 친밀한 세계에 빠져든다. 아무런 감정 없이 키스하는 것은 당구공뿐이다.

그러나 키스는 가끔 위험할 수도 있다. 얼마 전 법원은 안전띠를 매지 않고 조수석에 앉아 있던 여성이 운전자와 키스를 하던 중 교통사고가 나 다쳤다면, 여성에게도 40%의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역사적으로 지위가 낮을수록 상대에게 키스하는 부위는 얼굴에서 점점 더 멀어졌다고 하지만, 입의 키스, 더욱이 혀의 키스는 다른 어떤 성 행위보다도 동등한 자격으로 이루어지는 평등한 행위라고 한다. 그 교통사고 커플이 입과 혀로만 키스했다고 가정한다면, 판사는 제법 현명한 판결을 내린 셈이다.

나를 포함해 당구공보다 외롭게 가을을 맞고 있을 솔로들과, 그 도서관 및 교통사고 커플을 비롯한 세상의 모든 연인들을 위해 바로크 시대의 시인 파울 플레밍의 시 한 구절을 덧붙여 본다. “모두가 알다시피, 키스는 누구나 원하는 것, 해야만 하는 것, 할 수 있는 것. 나와 그녀만이 알고 있네, 우리가 어떻게 올바로 키스할지를. ” 〈소래섭 간사〉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