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월)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에서 제28대 총장예비후보자로 △이철수 교수(법학과) △유홍림 교수(정치외교학부) △남익현 교수(경영학과) △차상균 교수(데이터사이언스학과)가 선정됐다. 이들은 다음 달 6일 △교원 390명 △직원 55명 △부설학교 교원 4명 △사전 등록한 학생 전원이 참여하는 정책 평가를 거친다. 총추위는 정책 평가 결과를 100% 반영해 상위 득점자 3명을 이사회에 총장후보자로 추천하며, 이사회는 이들에 대한 평가를 진행해 총장최종후보자 1인을 선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현행 정책 평가제의 교직원 평가단 선출 방식은 교직원 전체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리라고 기대하기 어렵다. 정책 평가 당일 오전 단과대 인원에 비례해 교직원 정책 평가 참여 대상자가 무작위로 선정된다. 이런 규정은 참여를 희망하는 교직원의 의사를 반영하기 어렵다. 또한 무작위로 선정된 최초 대상자가 참여를 거절할 경우 다른 교직원에게 선택권이 넘어가는 방식이기에 최종적으로 추출된 표본이 편향될 우려가 있다. 강의 및 업무 일정 등 교직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선발 방식은 특정 후보자에 대한 강한 선호를 지녔거나 총장 선출 과정에서 이해 관계에 놓인 사람만이 정책 평가에 참여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지난 총장 선거의 정책 평가 방식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평가가 지나치게 짧게 이뤄진다는 점도 문제다. 지난 정책 평가는 후보자별로 정책 발표 20분과 질의응답 20분의 시간을 가졌다. 그러나 후보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비전과 역량을 40분 안에 담아내기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청취하는 평가단의 입장에서도 충분하지 않다. 더군다나 당일 오전 갑작스레 선출된 교직원 평가단이 수시간 안에 후보자의 세부 공약의 취지와 실현 가능성을 견주어 판단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는 정책 평가 제도가 총장 후보에 대한 충분한 숙고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이번 총장 선거에서는 정책 평가 반영 비율이 확대된 만큼 정책 평가 과정에서 교직원 정책평가단이 온전히 총장 후보자 검증에 집중할 수 있도록 평가 환경이 보장돼야 한다.

서울대는 법인화 이후 몇 차례의 총장 선거를 거치며 총장 선출 제도를 원칙적으로 간선제로 전환하되 학내 구성원의 의사를 선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직선제적 요소를 강화해 왔다. 이는 법인화라는 제도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면서도 대학 자치 활성화 및 구성원 의견 수렴이라는 기대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반영된 산물이다. 그러나 시행되는 제도가 그 취지에 맞게 적절히 운영되고 있는지는 계속해서 짚어봐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